매일신문

2011원자력 클러스터 서울 한복판에서 논하다

- 클러스터 사업연구결과 보고, 원자력산업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방향

2011원자력 클러스터 서울 한복판에서 논하다

- 클러스터 사업연구결과 보고, 원자력산업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방향 논의 -

경상북도는 오는 10월 17일(月) 17시 서울 삼정호텔에서 원자력 전문가, 기업인, 언론인 등 150여명을 초청하여 원자력산업 전망과 동해안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 방안 모색을 위한 『2011원자력 클러스터 포럼』을 개최하였다.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는 경상북도가 2009년말 UAE 원전 수주를 계기로 정부가 원전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함에 따라 원전, 방폐장 등 원자력 관련 시설 기반이 풍부하고,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동해안을 세계 원자력 시장 선점을 위한 전진기지로 구축하기로 하고 2010년 산업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하여 '동해안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중점시책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또 원자력 클러스터 포럼은 동해안 원자력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정책 자문, 과제 발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목적으로 대학, 연구소, 기업, 언론사 등의 원자력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력 정책, 산업, R&D, 인력양성 등 4개 분과를 두고 운영하고 있다.

2011년 6월 21일 1차 총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4개 분과별로 4~5차례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정부의 원자력정책 운용과 산업 육성의 정책적 이슈들을 전문가적 관점에서 주요 쟁점사항들을 논의하고, 이슈의 세부분석을 거쳐 학술적, 정책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발굴하여 왔다.

□ 이번 포럼은 오후 3시부터 시작하여 분과별 연구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마친 후 5시부터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총회는 김관용 경상북도지사의 개회사, 김숭평 포럼위원장의 환영사, 그리고 전문가 특별강연의 순서로 진행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과 관련하여 안전성 및 국민 수용성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특별강연은 고려대학교 김영평 명예교수가 '원자력정책과 대국민 수용성 강화'에 대하여,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본부장이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영향 및 기술 발전과제'에 대하여 강연을 하게 된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세계적으로 원자력의 입지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지만 원자력을 운용하는 각국별 상황을 고려해 보면 원자력을 완전히 포기할 수 없다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면서, "얼마 전 정전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자원빈국인 동시에 에너지 과대 소비국이기도 한 우리나라는 결코 원전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원전 관련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가 여느 선진국에도 뒤지지 않는 지금, 원전산업을 수출산업화 해야 하는 당위성은 더 이상 말할 나위가 없다." 라고 말했다.

또한 "안전성 확보를 통한 주민수용성 제고와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원전과 방폐장이 있는 현장에 관련 연구, 산업, 교육, 안전문화 시설이 위치하여야 하며, 원자력클러스터가 동해안에 성공적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발로 뛸 뿐만 아니라 본 원자력클러스터 포럼을 과제 발굴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정책 형성과 실행이 동시에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배소영 인턴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