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당위성을 여러 차례 보도했다. 떨어진 대구경북의 위상을 되찾고 시'도 분리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해 지역의 경쟁력을 높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절박함에서다. 또 2006년부터 의욕적으로 시작했던 시'도 경제통합 논의가 지지부진해 다시 공론화할 필요도 있었다. 부산, 광주, 대전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광역 행정 및 행정통합 공론화 역시 한 요인이다.
행정통합 논의는 지금 진행 중인 경북도청의 안동'예천 이전과 무관하게 공론화할 가치가 충분하다. 도청이전은 도민의 숙원 사업이다. 2014년 이전을 목표로 토지 보상 등 절차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고 일정대로 추진돼야 한다. 중요한 것은 현재처럼 대구와 경북이 별도 행정조직으로 이원화된 상황에서는 대구와 경북의 경쟁력이 모두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구 인구는 10년째 정체 중이고, 경북은 지속적인 감소세다. 2030년까지 계속 줄어 2050년이면 각각 200만 명이 채 안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있다. 경북 동부는 부산경남울산의 동남권역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경북의 위축 혹은 심리적 분리로 소속감마저 약해질 것이다. 대구경북을 한데 묶는 광역 지자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또 다른 이유다.
새로운 광역지자체의 과제는 효율적인 행정조직 구성에 있다. 경쟁력을 키우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대구 경북은 한 뿌리이나 치열한 경쟁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전체가 불이익을 받은 사례도 많다. 특히 비대한 수도권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면 대구경북이 힘을 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현재 추진 중인 도청 이전과는 무관하다.
통합 광역 지자체의 주 사무소는 대구든, 도청 이전지인 안동'예천이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각 기능은 이원화하되 행정조직은 일원화해 효율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미국, 호주 등 일부 국가가 정치와 경제 중심지를 이원화, 운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중요한 것은 경쟁력 확보로 대구경북을 영남권, 나아가 국가 전체의 경제적 허브로 탈바꿈시켜야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지의 행정통합 보도는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한 어젠다를 제시한 것이다. 도청 이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자 함이 아니라 대구경북의 미래를 고민하자는 제안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