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일자리'와 '고용'에 올인하고 있다. 1일 "일할 수 있고, 일하고자 하는 국민의 일자리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힌 박 전 대표는 2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지식창조형 이공계 인재 양성 및 활용방안' 토론회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문제나, 젊은이들이 애타게 찾는 괜찮은 일자리들도 결국 과학기술과의 융합에서 나온다는 철저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서강대 전자공학과 출신으로 국회 '이공계 모임'(회장 서상기)에도 빠지지 않고 참석하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우리가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재를 많이 길러야 한다. 그 모든 것이 경제발전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있다"고 말하면서 자활과 자립를 돕는 복지철학에서 나아가 경제발전을 위한 인재 육성에 힘쓰겠다는 생각을 밝혔다. 이어 "어떻게 훌륭한 인재를 많이 육성해 과학기술계를 발전시킬까를 연구 중인데 젊은 분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만들겠다는 결심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재정건전성을 고려한 경제정책에 이어 '과학기술계 인재 육성 및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구상을 곧 밝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로 국회가 소란스러운 가운데 여야 모두 박 전 대표의 입에 주목하고 있다. FTA 비준동의안이 국회의장 직권상정을 통해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 60여 명에 이르는 친박계 의원들의 생각이 본회의 통과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FTA에 대해 박 전 대표가 입장을 밝힌 적은 없지만 지난달 13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지원유세 당시 미국 의회의 FTA 비준안 처리 사실에 대해 "잘된 일이죠?"라고 물은 바 있고, 앞서 9월 22일 관세청 국정감사에서는 FTA 체결이 소비자물가 인하로 이어지고 중소기업에도 관세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경제'복지정책에 대해 1일 자신의 고용복지 세미나에서 "이런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비판한 박 전 대표가 정치 현안에 대한 침묵을 접고 FTA 등 현안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