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생활질서부터 방범까지 "검은손 꼼짝마"

수성구청, 대구경북 첫 'CCTV 통합관제센터' 설치

대구에서 처음으로 구축된
대구에서 처음으로 구축된 'U-수성 CCTV통합관제센터'. 수성구 지역에 설치된 673대의 각종 CCTV를 통합관리하는 곳이다.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11일 오전 11시쯤 대구 수성구청 별관 5층 U-수성 CCTV 통합관제센터(이하 관제센터). 47인치 LED 화면 21면(가로 7면, 세로 3면)이 정면 벽을 가득 채웠다. 대형 LED 화면 영상은 크고 작은 수백 개 영상으로 나뉘어 있었다. 화면을 응시하던 이영화(44'여'대구시 지산동) 씨가 일지에 뭔가를 썼다. 이 씨는 "시간대별로 화면 속 상황을 일지에 기록한다. 시범 운영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건'사고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계기사 7면

◆대구경북 최초의 통합관제센터

관제센터에는 수성구 내 어린이 보호 및 범죄 예방, 산불감시 등을 위해 설치된 673대의 CCTV 화면이 실시간으로 잡힌다. 기존 수성구청과 대구시교육청이 각각 361대와 312대의 CCTV를 별도로 관리했지만 관제센터가 이달 1일부터 시범 운영되면서 모두 통합된 것. 수성구청은 국비 6억원과 구비 6억원, 대구시교육청 2억8천만원 등으로 관제센터를 만들었고, 올해 말까지 시범운영을 한 뒤 내년 1월 1일부터 본격 운행할 예정이다. 관제센터 운영은 경찰 3명과 전문 모니터링단 24명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한다.

30, 40대 주부들로 구성된 전문 모니터링단은 6명씩 4개 조로 운영된다. 이들은 관제센터가 시범 운영을 하기 전 별도 교육을 받았다. 이 씨는 "아직은 특별한 것이 없고 아침저녁으로 운동하는 시민들의 영상이 자주 보인다"고 말했다. 주정차 단속, 쓰레기 단속, 하천'산불 감시, 시설물 관리 등 특수목적으로 설치된 CCTV의 경우 낮에는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지만 밤이 되면 모두 방범용으로 전환한다. 어린이보호구역 17개소에 설치된 CCTV에는 비상벨까지 설치돼 위기에 직면한 주민이 누를 경우 관제센터의 대형 화면으로 자동 전환돼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어린이를 상대한 범죄만큼은 철저히 방지하겠다는 의도다.

운영'관리를 위해 수성구청과 수성경찰서, 동부교육지원청 등이 협약을 맺고 역할 분담을 했다. 구청은 모니터러링 인력 채용, 교육, 근무배치 등 일반적인 관리 책임을 하고, 사건'사고 발생 시 수성경찰서에 영상을 제공한다. 또 CCTV설치와 유지 관리도 맡았다. 수성경찰서는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장 출동 지원을 하고, 교육청은 학교 CCTV 전담 모니터링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하고, 영상 저장을 책임진다.

수성구청은 관제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내년 1월 정보통신과 산하 '통합관제계'를 신설하기로 했다. 구청 공무원 3명이 배치될 통합관제계는 경찰과 협의를 통해 관제센터 운영을 전담한다. 관제센터 운영의 전문성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향후 어린이보호구역이나 놀이터, 공원 등 범죄 취약지역에 CCTV를 확대 설치하고, 노후화된 CCTV는 연차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이진훈 수성구청장은 "지역에서 최초로 CCTV 통합관제센터를 구축'운영하는 만큼 타 지자체에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운영을 철저히 하고, 내년에 범죄 취약지역에 방범용 CCTV를 확대 설치해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생활 침해 논란도

관제센터 설치로 사생활 침해 논란도 불거졌다. 일부 시민들은 CCTV에 영상이 포착되기 때문에 감시를 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길을 걷는 것도 불편하다고 호소했다. 회사원 정모(37'수성구 범어동) 씨는 "CCTV가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면서 누군가가 내 행동을 지켜본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다. 범죄 예방도 중요하지만 사생활 보호도 그 이상 중요하다"고 말했다. 장모(35'수성구 만촌동) 씨는 "명백한 빅브라더다. 위험한 학교 앞이나 우범지대에 설치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전 지역에 CCTV를 설치하고 행정기관이 이를 지켜본다는 것은 명백한 사생활 침해"라며, "영상 화면이 해킹될 수 있고, 특정 인사 감시용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수성구청은 주민들의 방범용 CCTV 설치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역기능보다는 순기능이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수성구 윤일균 정보통신팀장은 "사생활 침해는 필요악이다. 어느 정도 사생활 침해는 불가피하겠지만 사회 정의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지 않으냐"며 "주민들도 CCTV를 더 설치해 달라고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부 모니터링단에도 채용할 때 보안서약서에 서명하도록 했고, 신원조회도 할 방침이어서 우려할 일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