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총선 모드' 급속히 재편…내년 1월 선대위 출범 검토

내년 총선이 넉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나라당이 총선 체제로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쇄신 연찬회를 통해 홍준표 현 대표가 형식적으로는 재신임을 받은 만큼 논란을 조기에 정리하기 위해서라도 총선 국면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전략이다.

1일 한나라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내년 4'11 총선에 대비하기 위해 내년 1월 초에 총선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앞서 이달 중순에는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공심위 구성 시점은 내년도 예산안 처리를 비롯한 국회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다.

홍 대표는 이날 총선 공천과 관련, 당헌'당규에 명시된 대로 당 대표로서 공천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누구도 관여할 수 없게 엄중하고 공정하게 공천을 관리할 것"이라며 "공천기구 역시 엄중하고 공정한 절차에 따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나의 정치적 사욕을 위한 공천은 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대표는 특히 "자기 자신은 당연히 출마할 것을 전제로 인기발언하고 동료 의원을 깎아내리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며 "자신의 출마와 당선 욕심으로 쇄신을 부르짖는 것은 무책임한 얘기"라고 비판했다. '영남'강남 50% 물갈이론' 등을 제기해온 일부 쇄신파 의원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홍 대표는 전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도 "정책 쇄신만으로는 국민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인적쇄신도 돼야 한다"며 "인적 쇄신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그런 말을 하는 사람부터 쇄신을 당할 각오가 돼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는 1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총선기획단 활동, 정책 쇄신, 부정부패 차단 방안 등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쇄신 방향과 방법, 절차 등에 대해 논의했다. 민생예산 증액 및 부자 증세 문제 등을 다룰 고위 당정청 회의는 1일 열릴 예정이었지만 다음 주로 연기됐다.

한편 한나라당이 선대위 구성 등 조기 총선 체제 구축에 나서면 지금의 당 지도체제의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에 따라 박근혜 전 대표의 조기 등판론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박 전 대표와 친박계에는 조기 등판에 대한 거부감이 여전하지만 당 안팎의 여건은 박 전 대표의 등을 계속 떠미는 형국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