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당 야권통합결의안 가결은 됐지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법적 공방 등 후유증 클듯

야권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민주당이 진통 끝에 통합안을 가결시켰지만 법적 공방 등의 여지가 남아 있어 향후 야권통합 과정에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다. 민주당은 일단 12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통합결의에 따른 후속 절차를 밟아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손학규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의 대결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대의원대회(이하 전대)에서 통합결의안이 통과됨에 따라 손 대표가 판정승을 거두긴 했지만 박 전 원내대표의 반격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 야권통합 반대진영은 전대에서의 '정족수 계산법'과 관련, 전당대회 무효(표결 효력 정지) 가처분신청을 접수하는 등 법정 공세를 펴겠다는 입장이다. 반대파들의 소송이 법원에 의해 받아들여질 경우 내년 1월 초로 예정된 야권통합을 위한 전당대회 일정은 미뤄지게 된다.

민주당은 11일 오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임시 전국대의원대회를 열어 시민통합당과의 통합결의안을 의결했다. 손 대표는 "야권통합은 민주당을 더욱 강하게 만들 것"이라며 대의원들의 찬성표결을 당부한 반면 박 전 원내대표는 반대토론을 통해 "민주당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밀실야합은 민주당의 대의원과 당원을 없애는 일"이라며 반대표결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투표결과 통합결의안은 찬성 4천427표(76%), 반대 640표로 통과됐다. 그런데 통합결의안에 참여한 대의원 수가 문제가 됐다. 통합 반대진영에선 투표참여 대의원 수가 전체 대의원 수의 과반이 되지 않았다며 투표 무효를 주장했다. 전대 시작부터 험악했던 행사장 분위기는 극도로 얼어붙었고 대회장 곳곳에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다. 폭력으로 얼룩진 과거 야당의 전당대회를 연상케 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입장 유보)-전당대회준비위원회(표결결과:투표 성립 8명, 투표 불성립 3명)-당무회의(투표 성립) 과정을 거쳐 통합결의안을 최종 가결했다.

민주당의 통합결의안이 전대를 통과함에 따라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은 12일부터 합당을 위한 실무적인 협상을 벌여나갈 예정이다.

야권 통합정당 지도부는 1차 예선을 통해 후보를 9명으로 압축한 뒤 본경선을 통해 6명의 선출직 최고위원을 뽑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대의원 선정 방식과 여론조사 실시방법 등이 논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에서 20여 명의 당권주자들이 자천타천 출마를 준비 중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