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고령화 심각..43.8%가 80대 이상
이산가족 10명 중 4명은 80대 이상으로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지난 4∼11월 대한적십자사와 공동으로 실시한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생존자 8만1천800여 명 가운데 실제 연락이 닿은 6만6천61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90대 이상이 6%, 80대 37.8%, 70대 37.3%, 60대 13.6%, 50대 이하가 5.3% 순이었다. 80대 이상이 2003년 20.3%, 2006년 27.3%였던 것에 비춰보면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와 부부, 자녀를 찾는 경우가 44.7%로 가장 많았고 형제·자매 44.1%, 삼촌 이상 친지를 찾는 경우는 11.3%였다.
이산시기는 6·25전쟁 전후가 94.9%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휴전이후∼1950년대 2.9%, 1960년대 0.6%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13.3%는 혼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비율은 6.2%로 일반인(3.2%)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한 첫 전수조사다. 2009년 3월 제정된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이산가족법)'은 통일부 장관이 5년마다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전면적인 생사확인과 상봉정례화에 대비한 자료구축 및 정책을 위해 반드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면서 "조사결과는 향후 이산가족 정책 수립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이와 함께 이산가족 1만6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은 헤어진 가족과 교류방법으로 ▲생사확인(40.4%) ▲대면상봉(35.9%) ▲서신교환(10%)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진 가족과 실제로 생사를 확인한 경우는 8.4%에 불과했다. 확인 방법으로는 일본·중국의 가족·친척을 통한 확인이 37.7%로 가장 많았고 당국의 교류행사 31.4%, 교류알선 단체 4.1%로 뒤를 이었다.
또 생사 확인 후 16.9%가 금전 지원을, 14.8%가 물품 지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원규모는 100만원 미만이 각각 50% 이상을 차지했다.
생사가 확인되고 나서도 가족과 교류를 원하는 경우는 78.8%로 집계됐다. 교류를 원하지 않는 21.3%는 ▲북한 측 가족의 사망(33.8%) ▲교류비용 부담(17.8%) ▲북한측 가족의 연락두절(9.8%) 등을 이유로 꼽았다.
또 이산가족의 29.6%는 북한에 토지 또는 재산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땅문서 등 자료를 보유한 경우는 3.6%에 불과했다.
통일부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이산가족교류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18번의 이산가족 대면 상봉이 이뤄졌으며 남북을 합쳐 모두 2만1천여명이 가족을 만나 재회의 기쁨을 누렸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