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오키나와 핵 철수 우려"
미국이 지난 1969년 오키나와 섬에서 핵무기를 제거한 뒤 섬을 일본에 반환하기로 합의했을 때 박정희 전 대통령은 한반도의 비상사태 발생시 전쟁억지력의 감소를 심각하게 우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교도통신은 22일 비밀에서 해제된 일본의 외교문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한국이 미군 핵무기 철수를 포함한 오키나와의 일본 반환에 반대했다는 사실은 미국 외교문서를 통해서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에 일본에서 새로 공개된 문서는 박 전 대통령이 남북한 간 긴장 상태 속에서 전쟁억제력 감소를 대단히 근심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통신은 전했다.
또 일본과 미국이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 미군 핵무기의 오키나와 재배치를 허용했다는 미·일간 협정 발표 내용이 날조됐다고 볼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1969년 11월24일 가나야마 마사히데(金山政英) 주한 일본대사가 본국에 보낸 비밀전문에 따르면 가나야마 대사가 당일 청와대에서 만난 박 전 대통령은 핵무기 배치를 포함한 오키나와의 준비 태세를 그대로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가나야마 대사와 박 전 대통령의 만남은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일본 총리가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과 1969년 11월21일 오키나와 반환을 합의해 발표한 지 3일 만에 이뤄졌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일본의 국내 여건을 고려해 핵무기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피하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비상사태에 대비한 사전 합의가 고려돼야 한다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만나기 3일 전 사토 총리와 닉슨 대통령이 발표한 공동 합의문에는 유사시 오키나와에 핵무기를 다시 들여오기 위해 미일간 고위급 회담을 열 수 있다는 '사전 합의제'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이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이에 대한 우려를 재차 전달한 배경이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이날 비밀에서 해제된 일본 외교문서 중에는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관련해 미군 재배치와 시설개선 비용으로 일본이 6천50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미·일 양측이 비밀리에 합의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이밖에 미국이 1971년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깜짝 발표하기에 앞서 중국이 일본에 중·미간 관계 개선을 암시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