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보험사에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또 보험광고 제작 과정에 소비자의 지적 사항이 반영된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의 '보험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제고방안'을 17일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보험업계는 우편이나 팩스 등으로 비대면 접수를 할 수 있도록 보험금 청구 시스템을 바꾸기로 했다. 생명보험사는 그동안 창구 접수를 원칙으로 한 탓에 소액 보험금을 받으려는 고객의 불만이 컸다. 나이가 많거나 장애가 있어 보험금 청구가 어려운 계약자는 설계사가 직접 찾아가 절차를 안내하고 서류를 대신 접수해준다. 또 실손보험에 가입했지만 보험금이 사후 정산 방식인 탓에 고가의 치료비를 내지 못하는 저소득층의 경우 병원의 진료비청구서를 근거로 보험금을 미리 받을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보험금 청구'지급이 간편해지고 경제적으로 힘든 저소득층이 아파도 치료를 받지 못하는 고통을 덜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광고는 각 보험사가 소비자평가단을 구성해 광고를 내기 전 평가단의 검증을 받는다. 평가단은 소비자가 오해할 수 있는 대목을 지적해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홈쇼핑 채널의 보험광고 역시 쇼핑호스트가 표현할 수 있는 내용을 협회가 미리 심의한다.
설계사가 다른 보험사로 옮기는 바람에 제대로 관리를 받지 못하는 '고아계약'은 실적이 우수한 장기근속 설계사가 넘겨받아 관리하는 지침이 도입된다. 또 설계사가 자신과 가족 등의 계약으로 실적을 내는 '자기계약'은 영업조직 성과평가에서 제외키로 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