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최장수 당명인 '한나라당'이 간판을 바꿔 달까.
"재창당은 없다"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당의 '간판' 바꿔 달기를 위해 현역 국회의원 여론 수렴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나라당 부설 여의도연구소는 설 연휴 직전 소속 의원 166명을 대상으로 당명 변경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고 이에 대한 결과는 26일 비대위 전체회의에 회부한다.
김광림 여의도연구소장은 25일 "당명 개정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것은 맞다"면서도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줄 수가 없다. 하지만 당명을 바꾸자, 말자에 대한 여론이 한 쪽으로 압도적이지는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은 앞다퉈 다수 국회의원이 당명 개정에 찬성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국회의장 관계자의 선관위 디도스 공격 의혹으로 비상대책위원회가 가동되면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당 해체 요구를 줄기차게 받아왔다. 하지만 '틀 내에서의 쇄신'이라는 소신을 굽히지 않다 "당명 개정은 의견을 수렴해볼 수 있다"고 했다. 현존 정당 가운데 15년의 최장수 당명(1997년 창당)인 한나라당은 박 비대위원장 자신이 당 대표를 지냈고, 차떼기 등 각종 위기에서도 이름을 버리지 않고 돌파해왔다. 그래서 당명에 대한 애착이 아주 컸다.
하지만 당명 개정은 그간의 과오를 모두 인정하는 셈이 되는 단점도 있지만 쇄신하는 이미지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 당내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만약 당명 개정 찬성이 더 많다면 총선을 앞두고 물리적 시간 등을 감안하면 26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달 17일 의원총회에서 당명 개정에 대해 "새롭게 태어나는 각오로 한다면 당명도 바꾸고 준비도 돼있다. 여러분이 원하면 바꿀 것이며, 원하지 않으면 안 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만약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당명 개정'이 가닥을 잡을 경우 다음 달 초 전국위를 소집해 당명 개정을 담은 당헌 개정안을 의결하는 수순을 밟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정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대선 출마를 위해 창당해 17년 6개월의 재임기간 그 이름을 유지했던 '민주공화당'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