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근혜 '정수장학회 딜레마'…野 연일 '장물장학회' 공세

친박도 "털고 가야하는데…" 장학회 "과거 인연" 반발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수장학회 딜레마'에 빠졌다. 야당의 압박 수위는 연일 높아지고 있지만 그동안 '관계 없음'을 강조해온 터라 직접 해결책을 내놓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당사자인 정수장학회가 강하게 반발, 박 위원장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는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위원장을 겨냥해 "그의 아바타인 정수장학회는 부산시민의 대변자인 부산일보의 입을 막았다"며 "부산의 민심을 듣고 싶다면 정수장학회를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수장학회 논란을 주도하고 있는 문재인 상임고문도 23일 재차 박 위원장을 정조준했다. 그는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박 위원장이 정수장학회에서 10년간 2억5천만원가량 연봉을 받았다고 보도됐다. 상근도 안하면서 해마다 2억5천만원이면 몇 명분 장학금인가? 지금은 손뗐다면 과거 장물(贓物)에서 얻은 과실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비난했다. 그는 앞서 16일 "정수장학회는 김지태 선생의 부일장학회가 강탈당한 장물"이라고 포문을 연 뒤 박 위원장이 20일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둬 장학회와 관련이 없다"고 반박하자 "장물을 남에게 맡겨놓으면 장물이 아닌가"라며 재반박했다.

정수장학회는 이 같은 야당의 움직임을 "왜곡된 정치공세"로 일축했다. 장학회는 23일 이사진 명의의 보도자료에서 "7년 전 이사장에서 물러나 현재 장학회와 아무 관련도 없는 박근혜 전 이사장을 과거 인연을 이유로 정치쟁점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문 고문의 '장물' 비유는 전혀 사실이 아닌 일"이라고 비판했다.

정수장학회의 입장이 "정수장학회가 분명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밝힌 박 위원장의 '시그널'을 거부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친박계 내부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야당의 파상공세에 대해 "이 참에 털어버리자"는 의견도 많다. 친박 한 핵심 의원은 24일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법적으로 박 위원장과 정수장학회가 아무 관계가 없는데 어떻게 나서겠느냐"면서도 "정수장학회 이사진이 자체적으로 진퇴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수장학회를 둘러싼 논란은 총선뿐 아니라 올 연말 대선까지 이어질 게 확실해 보인다. 지난 2007년 대선 당시에는 당내 친이계로부터도 공격 대상이 된 바 있다. 박 위원장은 1995년 정수장학회 8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가 2005년 퇴임했다. 그러나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비서관을 지낸 최필립 이사장이 후임을 맡으면서 여전히 정수장학회가 박 위원장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