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공천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공천탈락자들이 '살 길'을 찾아 나서고 있다. 여당에선 공천과정에서 홀대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친 이명박 대통령 진영 인사들의 집단 탈당 및 신당창당 움직임이 잦아들고 있는 반면 야권은 임종석 사무총장 사퇴와 야권연대 성사에도 불구, 원심력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과정에서 자신의 지역구(부산 남구 을)가 전략지역으로 선정되며 사실상 공천에서 탈락한 김무성 의원은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아프지만 당의 결정을 수용'하기로 했다.
김 의원이 정치권 일부에서 제기한 '탈당'대신 '잔류'를 선택함에 따라 반(反)박근혜 진영의 행보에 제동이 걸렸다. 당초 친이계에서는 친박계 좌장을 맡았던 김 의원이 새누리당 탈당과정에 합류할 경우 반박진영에 적지 않은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해 왔었다.
이어 이날 친이계인 조전혁 의원 역시 공천탈락 결과를 받아들이기로 했으며 당초 이날을 전후해 탈당 기자회견을 가지기로 했던 이재오 의원의 핵심측근인 진수희 의원 역시 일정을 뒤로 미뤘다.
친이계의 한 현역의원은 "독자세력화를 위해서는 확실한 명분과 동력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의 공천결과만으로는 명분(보복공천)이 부족하고 김무성 의원 정도의 이탈세력을 규합해야만 충분한 동력이 나오는 데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못 했다"고 했다.
결국 반박진영의 저항수위는 조직적으로 진화하기보다 이날 탈당을 선언한 울산의 친이계 중진의원인 최병국 의원처럼 개별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새누리당을 탈당한 현역 국회의원은 박종근, 이윤성, 전여옥, 허천, 최병국 의원 등 5명이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향후 영남권의 공천결과와 돌발변수 등에 따라 여권 지형변화는 얼마든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야권에서도 공천(경선) 탈락자들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수도권에 출사표를 던졌다가 경선을 치르지 못한 예비후보들이 무소속으로 총선에 나설할 뜻을 밝히는가 하면 집단적으로 반발했던 구(舊)민주계는 독자정당(정통민주당)을 창당해 이번 총선에 임할 예정이다.
한광옥 전 의원,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 장기표 녹색통일당 상임대표, 이훈평·조재환 전 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는 정통민주당은 12일 창당식을 갖고 오는 총선에서 200명이상의 후보를 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이들의 움직임이 찻잔 속 태풍이 될 것으로 보고 있고 또 그러길 기대한다"며 "유권자들이 야권연대의 큰 그림에 주목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유광준기자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