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의 차기 당권을 두고 경쟁후보들 사이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게임의 법칙'이 도마에 올랐다.
이달 20일 울산을 시작으로 각 시도당별로 진행될 예정인 대의원투표 결과를 현장에서 곧바로 공개하느냐, 아니면 각 시도당별로 진행된 대의원투표 결과를 집계해 두었다가 내달 9일 전국대의원대회장에서 현장투표 결과와 함께 공개하느냐가 쟁점이다.
논란은 15일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문희상 국회의원)가 각 시도당별 대의원투표 결과를 현장에서 곧바로 공개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부터 불거졌다.
민주당 선관위 관계자는 "지역별로 결과가 순차적으로 발표되면 당원과 국민들의 흥미가 커질 것"이라며 "더불어 지난 1'15 전당대회와 같이 전국의 대의원이 시간과 비용을 들여 전당대회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과 비용을 줄이고 '버스떼기' 등 동원 선거 논란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은 지난 2002년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과정에서 각 시도당을 돌면서 진행한 대의원투표결과를 현장에서 곧바로 공개해 국민적 관심을 크게 모은 바 있다.
반면 일부 당권주자들은 선관위가 제시한 방안이 '특정 후보에 유리한 방식'이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경선전 초반 치러질 시도당 대의원투표(30%) 결과가 이후 진행될 시민'당원(70%) 투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시도당대회 초기 실시지역인 울산(20일), 부산(21일), 광주'전남(22일), 대구'경북(24일)에서 우위를 선점한 후보가 유리한 경선레이스를 펼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특정 후보를 위한 규칙변경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경선방식 변경에 반대하고 있는 한 후보 캠프 관계자는 "경선 초반 특정후보가 대세론의 주인공으로 부상할 경우 경선이 싱겁게 끝날 우려가 있다"며 "애초 19일로 예정된 제주 대의원대회를 열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 초반 영남의 바람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바람의 진원지인 울산과 부산'경남에서 선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친노계 좌장 이해찬 후보와 범친노계이면서 광주에 지역구를 둔 강기정 후보가 선관위 제시안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김한길, 문용식, 이종걸, 조정식, 추미애 후보 등은 선관위 제시안에 대해 흥행만을 우선시하는 방법이라며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