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무등산의 올 연말 국립공원 지정이 유력시되면서 대구경북의 명산인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자는 움직임이 지역 사회에서 본격화되고 있다.
무등산의 경우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현재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광주시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사실상 국립공원 지정이 굳어졌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역 학계와 시민단체들은 면적이나 자연경관, 역사'문화적'생태적 가치가 무등산보다 앞서는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작업을 본격화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학계와 시민단체, 일부 대구시의원 등은 팔공산 국립공원 추진협의체 등을 구성해 범시도민운동을 준비하고 있다.
학계 및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팔공산이 자연생태계나 자연경관, 문화적인 측면에서 기존 국립공원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도시에 위치한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경우 도시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고 경제'문화적 효과도 엄청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팔공산이 세계 최대 규모의 복수초 군락지를 보유하고 세계적 희귀종이 서식하는 만큼 환경'생태 연구와 체계적인 보존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팔공산을 대구시와 경북도가 별도로 관리하면서 관리에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팔공산 전체 면적 125㎢ 중 대구시 팔공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가 35㎢(자연공원), 경북도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가 90㎢(도립공원)를 각각 관리하고 있다.
이같이 팔공산이 제각각 관리돼 종합적인 보존계획을 수립하기 어렵고 각 용도지구도 시도가 별도로 정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난개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직접 관리하면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해야 한다는 것.
대구가톨릭대 전영권 교수(지리교육학과)는 "팔공산에는 어느 국립공원도 가지지 못한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가 있다"며 "이번 기회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범시민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는 "자연공원, 도립공원이라고 해서 팔공산 내 사유지가 상업용이나 다른 용도로 전환되지는 않는다"면서도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하려면 타당성 통과에 앞서 사유지를 가진 지주들의 협조와 시도민들의 공감대 형성 등 많은 난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