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경제계에서 여성은 약자입니다. 실력을 갖추고 서로 단합해야 살아남을 수 있죠."
대구경북 여성경제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 정보를 나누는 '2012 대구경북 여성경제인대회'가 이달 17일 열린다. 전국 지자체 중 대구경북에서만 유일하게 열리는 이 대회에는 지역 여성경제인 300여 명이 참가한다. 이 대회를 주관하는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구경북지회의 김숙희 회장은 '단합'에 큰 의미를 뒀다.
김 회장은 "최근 여성 기업인과 관련된 다양한 단체가 생겨나면서 여성경제계가 다소 분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여성경제인대회는 여성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교류를 나누고 뭉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대구경북 여성들의 경제계 진출은 해마다 늘고 있다. 2010년 기준 대구경북 여성경영인은 13만6천여 명으로 2000년(11만4천568명)보다 19.2% 증가했다. 전체 사업체에서 여성이 경영하는 사업체 비율도 2000년 35.67%에서 2010년 39.67%로 늘었다. 여성 경영인들의 활발한 사회 진출로 여성이 기업을 운영하는 환경도 점차 나아지고 있다.
"처음 사업을 시작했던 2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여성 기업인은 남편이나 남성 가족이 보증을 서야만 사업자금을 대출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환경이 열악했죠. 여성에 대한 사회 인식이 개선되고 1999년 한국여성경제인협회가 생기는 등 여성의 권리를 대변하는 단체들이 생겨나면서 기업 환경도 친여성적으로 변했습니다."
하지만 여성 기업가는 여전히 경제계에서 약자다. 남성 중심의 기업문화 때문이다. 사업을 진행하거나 입찰을 받을 때 학연 등 인맥을 중시하는 분위기와 접대 문화가 여전히 존재한다. 김 회장은 이런 경영 분위기 속에서 여성 기업인이 살아 남으려면 '실력'으로 승부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같은 실력의 남성 경영인과 1대1로 겨루게 되면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 뛰어난 실력을 갖추는 수밖에는 없다"고 말했다.
여성 경제인들의 실력 향상을 돕기 위해 협회에서는 CEO MBA 등 교육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인기가 높은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CEO MBA 과정이다. 올해로 5년째를 맞는 이 교육은 매년 40명의 정원을 넘어설 정도로 신청자가 많다.
김 회장은 "차세대 CEO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이 결국 미래의 경영인이 되고 여성의 경제계 진출이 더 많아지면 여성 지위도 크게 향상될 것이다. 17일 열리는 대구경북 여성경제인대회처럼 단합할 수 있는 기회도 여성 경제인들의 기업 경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사진=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