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사태가 새누리당 내 '종박(從朴) 논란'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권 내려놓기의 하나로 불체포 특권을 포기한다고 했다가 정 의원의 체포 동의안이 부결되면서 쇄신 드라이브가 꺾이면서다. 원내지도부가 총사퇴한다고 밝혔지만 박근혜 대선 경선 후보가 '임시국회 마무리 뒤'로 총사퇴 시기를 제시했는데 당 지도부가 그 뜻을 그대로 따랐다. 한 정치권 인사는 "이제는 친박(親朴)이 아니라 종박이라는 표현이 맞다"라고 꼬집었다.
13일 정 의원 출당론과 원내지도부 총사퇴 관련 의견 수합을 위한 의원총회가 열리기 직전 박 후보는 정 의원의 '결자해지'와 '사태 수습 후 원내대표단 사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후 의총에서 정 의원은 즉각 탈당하고 새 원내대표단을 곧바로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황우여 대표는 정 의원이 당장 사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내용의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오후 1시 40분 소집된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후보의 발언과 비슷한 의견이 개진되더니 재소집된 의원총회에서는 ▷정 의원이 이달 중 가시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당에서 조치하고 ▷이한구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는 7월 임시회까지는 맡아야 한다 ▷황 대표 명의의 대국민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결정이 났다.
결국 '박근혜 가이드라인'이라는 표현이 나오면서 '정두언 사태'는 '박근혜 사당(私黨)화' 논란으로 비화됐다. 당 수습책을 위한 의총과 최고위원회의가 결국 박 후보가 내놓은 수습책과 일치하면서 "박근혜가 곧 법이다" "박근혜 입만 바라보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체포동의안 파문에 대한 결정은 나왔는데 이런 식으로 움직이는 당을 보며 "경선이 제대로 되겠느냐"는 불씨를 남기게 된 것이다. 끝난 이야기이긴 하지만 경선 룰을 둘러싼 논란도 "룰에 선수가 맞춰야 한다"는 박 후보의 뜻대로 된 마당이어서 경선 흠집 내기도 계속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
정 의원 체포 동의안 부결에 앞장선 김용태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특정 경선후보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당대표가 그 가이드라인에 준하는 결과를 갖고 대국민사과를 한 것은 이 당이 특정 정파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경선에 나선 김문수 후보는 "당이 너무 사당화되고 있다. 원내대표와 당대표가 책임지면 되는데 사사건건 박 후보만 쳐다보고 있다"고 했다. 임태희 후보는 "박 후보의 말 한마디로 당의 공식기구가 무력화되고 입장이 돌변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당이 유신체제로 회귀한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고 했다.
이 원내대표가 총사퇴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친박 내부에서도 내홍을 겪고 있다. 이 원내대표는 "국민에게 사과하는 진정성을 보여주려면 비록 의원들이 잘못한 것이라 하더라도 (원내지도부가) 물러나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 의원총회 결론과 관계없이 돌아가지 않는다. 무조건 사퇴한다"고 밝혔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