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나라 시조 조조(曹操)가 죽고 난 뒤, 맏아들 조비(曹丕)가 평소 사이가 나빴던 동생을 죽이려고 칠보시(七步 詩)를 짓게 했다. 일곱 발자국을 걸을 사이에 시 한 수를 못 지으면 목을 친다는 칠보시. 동생 조식은 '자두연기'(煮豆燃箕)란 시를 짓고 살아났다. '콩을 삶으려고 콩깍지를 태운다'는 뜻이다. '다 같은 뿌리(부모)에서 자란 사이인데 어찌하여 함께 나랏일을 도모해야 할 형제끼리 괴롭히려 드는가'라는 애절함을 읊었다.
안철수 교수의 뇌물, 여자 문제 의혹 제기 전화 통화를 놓고 '너는 내 친구다'는 주장과 '네가 왜 내 친구냐'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 정치 논쟁을 보며 조조 아들들의 콩깍지 칠보시를 떠올려 봤다.
스캔들 전화 시비의 앞뒤부터 살펴보자. 논란의 핵심은 '친구'라는 사람이 '친구 아니란' 사람에게 전화 한 통 한 것이 정치적 협박이냐 아니냐는 게 초점이다. 전화를 했다는 사람은 새누리당 공보위원이라는 정준길 씨고 전화를 받았다는 사람은 안철수 교수의 측근 변호사라는 금태섭 씨다. 두 사람이 친구냐 아니냐에 따라 '친구 전화를 정치 음모에 악용한 정치 공작'으로 몰릴 수도 있고 반대로 친구를 통해 정치적 협박을 한 정치 사찰로 몰릴 수 있다. 두 사람을 친구로 보느냐 아니냐에 따라 쌍방의 도덕성이 심판받는 상황이 돼 있는 것이다.
앞뒤 정황을 되짚어 보면 이렇다. 먼저 협박 기자회견을 열고 협박이라고 주장한 안철수 교수 측 금 변호사는 '평소 연락이 없다가 최근에 문자 한 통이 오고 관련된 전화(안철수 의혹 관련) 한 통 더 온 게 전부다'고 했다. 가까운 친구는 아니란 얘기다. 반대로 새누리당 정 씨는 금 변호사에게 보냈던 통화 내용과 금 씨의 답신 문자를 공개하며 반박했다.
'태섭아, (변호사) 수고 많지? 산업은행 관련 안철수연구소 부분은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다른 사정이 있다. 참고하기 바래' 오후 10시에 정 씨가 보낸 문자 메시지다. 세 시간 후 오전 1시 변호사 금 씨는 답신 메시지를 보냈다. '다른 사정이 뭐니. 준길아? 하고 싶은 얘기 있으면 전화 줘…'
정 씨는 금 씨가 보낸 편지도 공개했다. '내가 동기회장 맡을 당시 네가 운영위원이었고 2009년 네 저서에 서명해서 나에게 선물도 하지 않았느냐'는 서신이다. 대학 동기요. 새벽에 이름 부르면서 반말 문자 보내고 편지 부칠 정도면 친구 아니냐는 주장이다. 그런데도 기자회견까지 열어 안철수 교수의 불출마를 종용 협박했다고 우기는 건 친구와의 전화 내용을 정치 공작에 악용한 거라는 반박이다.
조조의 두 아들이 한 부모 밑에서 자란 콩과 콩깍지라면 S대 법대에서 같은 스승들 밑에서 학문을 닦은 금 씨와 정 씨 역시 군사부일체라는 도덕적 관점으로 본다면 콩과 콩깍지 사이나 다름없다. 가슴에 한 가닥이라도 인간다운 감성이 남아있다면 생각해 보라. 친구란 단어가 얼마나 아름다운 이름인가를…. 남미나 멕시코 같은 데선. '이 사람, 내 아미고(amigo=친구)야' 한마디만 던지면 생면부지 사람도 무조건 아미고의 아미고에게 손 내밀고 진심을 보여준다. 친구란 그런 것이다.
친구의 말꼬투리를 고발해서 파렴치한 협박범으로 몰리게 하는 짓은 아미고 사회에서는 상상도 못 한다. 친구가 아닌 정치적 적이라 해도 '네가 따르는 지도자에게 네가 모르는 이런 이런 문제가 있더라. 참고하기 바란다'는 조언이 정치 협박이 되느냐 아니냐는 논란은 애초부터 시시한 시비였다. 두 사람을 친구로 볼 것이냐 아니냐는 심판도 정치 공학적 말재간이 아니라 국민의 평범한 감성이 내린다. 국민이 둘 사이를 친구로 봐주면 안철수 교수 측 변호사가 친구를 삶고 괴롭히는 콩깍지가 되고 친구 아닌 정치적 적대자로 보면 의혹을 제기한 새누리당 측 정씨가 나쁜 콩깍지가 되는 거다. 하기야 더 못난 콩깍지들도 도처에 널렸다. 같은 당 안에서도 서로 삶고 태우고, 친노'비노 갈라치며 한 뿌리였던 옛 동지를 물어뜯는 일부 대선 주자들, 참 못난 콩깍지들이다.
오늘 본란의 논지는 두 친구(?)의 시비를 가리자는 게 아니다. 가뜩이나 각박해져 가는 이 사회에서 친구라는 아름다운 이름마저 정치 마당에 내동댕이쳐져 더럽혀지는 게 안타깝다는 걸 말하고 싶을 뿐이다. 오늘 밤에도 포장집, 소줏집에서는 수많은 의리 있고 순수한 '보통 친구'들의 술잔이 부딪칠 것이다. 거기에서나마 우리의 작은 희망을 찾자.
김정길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