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 누출사고로 대구 식수원인 낙동강 수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우려할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환경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9일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화학공장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에 따른 수질 및 토양 오염은 기준치보다 낮다고 발표했다.
이달 2일까지 사고 지점으로부터 150∼700m 떨어진 지점의 하천수와 지하수'토양 등을 조사한 결과 불소 이온 농도는 수돗물과 지하수가 각각 0.04㎎/ℓ, 0.05㎎/ℓ로 먹는 물 기준 1.5㎎/ℓ 이하를 만족하고 있다는 것. 토양 오염 조사에서도 우려 기준인 400㎎/㎏ 보다 낮은 275.5㎎/㎏로 나타났다.
대구지방환경청 토양 오염 조사에서도 이상은 없었다. 사고 지점에서 150∼1,110m 떨어진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지역의 불소 이온 농도는 155∼295㎎/㎏, 830∼1,230m 떨어진 임천리 지역에서는 201∼214㎎/㎏에 그쳤다. 오히려 사고 지점과 3.9㎞ 떨어진 구미시 거의동 옥계중학교 주변의 불소 이온 농도가 284㎎/㎏로 피해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정해용 대구지방환경청 환경관리과장은 "불산은 유출 당시 물과 함께 토양에 흡착된 게 문제이지만 토양 오염이 다른 지역에 비해 심각하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이어 "만일 비가 온다면 여러 군데 흩어져 있던 오염 물질이 낙동강으로 모일 가능성은 있지만 초기 우수 저장 시설에 모이는 데다 2차로 4만t을 수용할 수 있는 유수지에 모이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수질 오염 조사에서도 안전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구미 한천과 구미대교 수질검사 결과 불소 이온 함유량은 한천 1.24㎎/ℓ, 구미대교 0㎎/ℓ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기철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비가 내려 토양이나 식물, 대기에 함유된 불소 이온이 낙동강으로 흘러들어온다 하더라도 먹는 물 기준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초과한다 하더라도 식수 공급 전 물을 걸러주는 유수지에서 중화제를 통해 희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정부의 초동 대처 실패에 따른 3차 피해 우려가 높다는 입장이다. 특히 불산이 땅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비를 타고 흘러 내려가 낙동강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것.
유영억 대구대 환경교육과 교수는 "불산의 불소이온은 잘 분해되지 않으므로 토양과 식물에 남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비가 내릴 경우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은 물론 인근 낙동강까지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된다"고 주장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