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2013년) 대구시 주요 사업 예산(안)이 나왔다.
대구시는 8일 5조9천20억원(일반회계 4조2천130억원, 특별회계 1조6천890억원)의 내년도 예산안을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 대구시 내년도 예산은 ▷대구경제 동력 창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문화'환경'복지 조화 ▷시민 행복을 목표로 짜여졌다.
경제 동력 창출 예산으로 ▷한국뇌연구원 건립(239억원) ▷지방투자촉진보조금(120억원) ▷로봇산업클러스터 조성(130억원), SOC 확충 예산으로 ▷도시철도 3호선 건설(3천220억원) ▷테크노폴리스(달성군 현풍 신도시) 진입도로 건설(411억원) ▷성서소방서 신축(66억원) 등을 편성했다.
또 문화'환경'복지 조화 예산으로 ▷대구야구장 건립(370억원) ▷폐기물에너지시설 민간투자사업(121억원) ▷출산장려'양육지원 확대(3천193억원), 시민 행복 예산으로 ▷도시재생 사업(중구 근대골목 활성화 등 112억원) ▷전통시장 지원(103억원) ▷서민주택 지원(34억원) 등을 배정했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 지방채 발행을 억제하고 채무 감축에 주력한다. 그간 대구시는 2005년 이후 2011년까지 모두 4천433억원의 채무를 감축했고, 2012년에는 455억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13년 역시 3천267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하는 대신 3천897억원을 상환해 630억원의 채무를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으로도 연평균 570억원씩 감축해 오는 2017년에는 부채 규모를 2조원 수준까지 낮출 계획이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