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사과 한 개를 먹으면 의사가 필요 없다'는 영국 속담이 있을 정도로 사과는 건강에 좋은 식품이다. '과일의 여왕'이라 불리는 사과는 85%의 수분과 당질'식이섬유'비타민 등이 함유돼 있다. 열량은 100g당 44~57㎉로 부담스럽지 않다.
사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수분은 사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약 85% 정도이고, 당분은 11~14%, 신맛을 내는 유기산은 0.2~0.8% 들어 있다. 사과 속의 비타민C는 피부 건강에 좋고 펙틴과 당질은 당뇨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장운동을 활성화시키고, 고혈압, 동맥경화 억제에 좋다.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꼭지 달린 사과가 더 맛있다?
사과에 꼭지가 달려 있어야 당도와 수분을 더 오래 간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꼭지를 떼어내면 사과의 맛에 영향을 주는 수분, 당도, 경도가 모두 나빠진다는 것. 사과 꼭지가 떨어져 나간 구멍으로 수분이 빠지면서 사과 맛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상온에 4주간 보관할 때 꼭지 없는 사과의 수분 함유율은 82%로, 꼭지 있는 사과의 82.6%보다 0.6%포인트 낮다. 당도도 꼭지 없는 사과가 13.9브릭스로 꼭지 있는 사과의 14.1브릭스에 못 미친다. 우리나라는 꼭지가 없는 사과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 과수 농가가 일일이 꼭지를 잘라낸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꼭지 없는 사과가 불량품 취급을 받는다.
◆사과에 대한 오해와 진실
사과는 아침에 먹으면 '금', 점심엔 '은', 저녁엔 '독'이라는 말이 있다. 결론은 건강한 사람은 아침이든 저녁이든 어느 때 먹어도 상관은 없다. 저녁에 먹으면 사과산이 위의 산도를 높여 속을 쓰리게 하고 식이섬유가 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서다. 사과의 당질이 그대로 축적돼 체중이 불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사과산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보다 약해서 별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저녁 사과=독'이라고 보는 것은 좀 지나치다고 설명한다. 다만, 장이 예민한 사람은 잠자기 전에 섬유질이 많은 사과를 먹으면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고 화장실을 자주 찾느라 잠을 설칠 수 있어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아침 사과가 '금'이라는 속설은 아침에 먹는 것이 저녁에 먹는 것보다 더 유익하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이때 사과를 먹으면 포도당 공급으로 두뇌 활동이 원활해진다. 또 사과의 펙틴이라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장운동을 촉진해 배변활동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 에너지 소모가 적은 저녁에는 사과의 당분이 쓰이지 않고 그대로 남아 몸에서 지방의 합성을 촉진한다. 결국 체지방이 증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고르는 법과 보관 요령
사과는 약간 타원형인 것이 상품이다. 색깔이 고르면서 만졌을 때 묵직하고 단단한 느낌이 드는 것을 고른다. 식이섬유와 항산화 성분이 안토시아닌 등 사과의 웰빙 성분은 껍질에 대부분 몰려 있으므로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 사과는 다른 과일이나 채소와 따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과에 든 식물의 노화 호르몬인 에틸렌이 주변 과일과 채소의 숙성을 촉진시켜 금방 무르게 하고 시들게 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