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 후보 단일화 논의가 후보결정 방식을 두고 난항을 겪고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안철수 무소속 후보 진영이 모두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을 고집함에 따라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준비기간 부족 등 실무 차원의 이유를 들어 여론조사 방식으로 두 후보가 우열을 가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최종 후보결정 과정에서 여론조사 결과와 상관없이 두 후보 간 담판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핵심 쟁점은 여론조사 문항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다.
문 후보 진영은 '야권 단일후보로 누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을 선호하고 있다. 그동안 진행된 적합도 조사에서 문 후보가 안 후보를 앞서왔기 때문이다.
반면 안 후보 진영은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의 대결에서 두 후보 가운데 누가 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을 요구하고 있다. 박 후보와의 양자대결 가상구도에서 선전을 이어오고 있는 안 후보의 강점을 부각하기 위한 주문이다.
양측 협상실무팀은 20일 적합도 조사와 경쟁력 조사를 각각 절반씩 반영하거나 두 조사의 평균치를 활용하는 방안(이상 민주당 제안) 등 다양한 방법을 두고 타협을 시도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여론조사 방식(문항구성)에 따라 결과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쪽도 양보할 뜻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상호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은 2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느 한 후보에게 명백히 유리한 방식을 채택했을 경우 불리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는 후보 측의 지지자들이 승복할 수 있겠느냐"며 "특정 후보에게 명백히 유리한 방식의 문항은 서로 피해야 되지 않겠냐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여론조사 결과 두 후보 간 격차가 크지 않을 경우, 특히 오차범위 내의 차이를 보일 경우 어떻게 단일후보를 결정하느냐의 문제도 고민거리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론조사 과정을 거치되 최종결정은 두 후보 간 '담판'을 통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단독] 고리2호기 재가동 118억원 손해? 악마 편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