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하나뿐인 지구-네팔 쓰레기의 강, 바그마티의 재앙' 편이 28일 오후 11시 10분 방송된다.
천혜의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나라, 네팔. 이곳의 수도 카트만두에는 바그마티강이 흐른다. 카트만두 계곡의 북쪽에 있는 언덕에서 발원한 이 강은 파슈파티나트 힌두사원을 포함하여 파탄, 박타부르 등 카트만두 계곡의 주요 도시들을 가로지르며 네팔인들의 종교, 역사 그리고 삶을 품고 흘러왔다. 인구의 총 87%를 차지하는 힌두교인들은 바그마티강에서 몸을 씻는 것이 소원이며 죽음에 이르렀을 때 화장되어 이곳에 뿌려지기를 원한다. 하지만 인구의 급증에 따른 현대화 그리고 환경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무분별하게 각종 쓰레기가 이 강에 버려졌다. 더는 몸을 씻기는커녕 손조차 넣을 수 없을 만큼 썩어버릴 대로 썩어버린 바그마티강. 그렇다면 과연 바그마티강의 오염 원인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시간을 거슬러 1980년, 인구 급증과 함께 시작된 현대화가 배출한 생활 쓰레기와 공장 폐수이다. 두 번째로 환경에 무관심했던 정부는 특별한 대책도 없이 상류 마을의 폐수가 모이는 하수도관을 강의 하류에 옮기면서 오염은 더욱 심각해졌다. 게다가 도심 사이에 위치한 노후화된 정수시설은 이러한 폐수들을 정화하기에 역부족이었다. 결국, 깨끗한 상류 지역의 물이 바그마티강을 따라 형성된 여러 마을을 정화 없이 거쳐 내려오고 카트만두에 위치한 파슈파티나트 힌두사원에서 화장된 후 버려지는 재와 고인의 물품들까지 더해 거대한 쓰레기 강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바그마티강의 오염은 네팔 국민의 건강과 아이들의 삶까지 위협하고 있다.
쓰레기 강이 된 바그마티강의 모습과 해결 방법은 없는지 함께 모색해 본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