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적부터 동물을 참 좋아했다. 모든 복슬복슬한 동물들은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따뜻해지고, 만면에 미소가 피어오르게 만들었다.
그러나 동물을 키우고 싶어 하는 나에게 어머니는 '책임감'에 대해서 언급하시곤 했다. "동물은 생명체야. 예쁘다고 무작정 데려올 게 아냐. 네가 하나부터 열까지, 끝까지 책임지지 못할 거면 애초에 키울 생각을 하지 말아라."
늘 안 된다는 말에 그저 섭섭하기만 했던 나는 2006년 10월 23일. 드디어 몰래 고양이를 입양하는 사고를 치고 말았다. 어릴 적부터 읽었던 수많은 이야기들 속에서 나도 모르게 고양이를 동경하고 있던 터라, 여러 반려동물 중 고민할 여지없이 고양이를 선택했다.
고양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가입했던 인터넷 카페의 분양 게시판을 약 한 달여간 훑어보았고, 여러 번의 고민 끝에 결정된 녀석은 내가 좋아하는 털이 복슬복슬하다 못해 넘실거리는 태어난 지 4개월 된 '아깽이'(아기 고양이를 지칭하는 말)였다.
달콤한 크림색 털이 넘실거리는 그 녀석에게, 내가 좋아하던 루이스 캐럴의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묘(妙)한 고양이의 이름을 따 '체셔'(Cheshire)라고 지어주었다.
인터넷으로 주문한 이동장이 미처 도착하지 않은 터라, 동물을 다루는 법도 모르던 내 품 속에 안겨 한 시간 동안 도시철도를 타고 오는 내내 체셔의 심장은 낯선 공간과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에 요동쳤다. 집에 도착 후 바로 옷장 틈새로 들어가서 어김없이 하악질(고양이가 경계하거나 공격 의사를 표시할 때 내는 소리)을 해댔다. 여기까지는 내가 미리 예상한 그대로였기에 놀라지 않았다. 그러나 '며칠 지나야 긴장을 풀겠지?' 하며 조바심내지 않기로 한 내 앞에서 그 녀석은 아깽이 특유의 태평함으로 언제 경계했느냐는 듯이 어처구니없게 내 앞에서 배까지 발라당 까뒤집고는 잠이 들었다.
집에 돌아오면 늘 녀석은 내 의자에 앉아 낮잠을 취하던 그 모습 그대로 졸린 눈을 게슴츠레하게 뜨고 나를 반겨주었다. 녀석은 사람 말귀 다 알아듣는 영물(英物)임과 동시에, 때로는 그 누구의 말도 듣지 않고 제 마음대로 하는 고집불통, 요지부동의 독불장군이기도 하며, 때로는 넘치는 애교에 가족 모두 넘어가게 만드는 마성(魔性)의 매력냥이다.
우리 가족들과 함께하며 자신의 이름을 불러주는 가족들의 어조에 반응하고, 집에 돌아오면 너나 할 것 없이 가장 먼저 찾고, 가장 먼저 반겨주는, 서로가 서로의 패턴에 너무나도 익숙해진, 명실공히 서로의 짝이 되는(반려'伴侶), 서로에게 필요한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사이가 되었다.
장희정(동물애호가)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