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지하철 참사 10주년, 아물지 않는 상처

성금관리 의문 잇단 제기…유족들 "기금화 하자", 교훈은 없고 갈등만

올해로 2003년 2월 18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대구지하철 참사 발생 10주년을 맞는다. 하지만 국민성금 사용과 재단 설립 문제를 두고 여전히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192명이 숨지고 148명이 부상을 입은 대참사가 발생했지만 정작 참사를 통해 얻은 교훈은 없고 갈등만 남아있는 셈이다.

대참사 이후 국민들이 십시일반으로 낸 성금은 이자를 포함해 모두 710억원가량. 사망자와 부상자에게 지급한 특별위로금 등을 제하고 현재 남은 성금은 100억원가량이다.

하지만 일부 유가족들은 대구시의 성금 관리 능력에 의문을 품고 있다. 대구시는 2009년 희생자대책위원회에 백서 발간 비용으로 8천만원을 지불하고도 정작 백서를 발간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행정안전부 감사에서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성금을 기금화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성금 관리와 사용을 외부인이 참여하는 기금심의위원회에서 결정토록 해 투명성을 높이자는 것.

대구시 관계자는 "성금 관리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일각에서 계속 의혹을 제기한다면 기금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재단 출범을 두고도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가칭 '2'18 안전문화재단'이 2010년 설립됐지만 행정안전부가 보완을 이유로 반려하면서 관계자들 간 갈등이 불거진 것.

대구시는 행안부가 반려했다며 재단 정관에 규정된 '상임이사직'을 폐지하자는 입장이지만 윤석기 희생자대책위원장은 원안대로 재단이 출범해야 한다고 버티고 있다. 윤 위원장은 재단 설립을 위한 발기인대회에서 상임이사직에 선임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유가족들은 재단 출범 문제를 아예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재단 설립이 물 건너갔다"고 보고 있다.

재단이사장인 김태일 영남대 교수는 "서로 양보와 타협을 통해 하루빨리 재단 출범을 성사시켜야 2'18 참사를 통해 얻은 보편적 가치인 안전의식 고취와 사회안전망 구축을 널리 알릴 수 있다"며 "갈등 때문에 지금껏 시간만 낭비해 아쉬움을 감출 수 없다"고 했다.

기획취재팀=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황수영기자 swimmi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