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 알 권리 '밀봉' 인수위…부처 업무보고 내용 브리핑 거부해 논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갈수록 '불통'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정부 부처의 업무보고 내용에 대한 브리핑을 하지않기로 하면서 국민의 알 권리를 철저히 '밀봉'하는 처사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1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에서 브리핑을 통해 "일단 오늘은 구체적인 업무보고 내용에 대해서는 브리핑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뜬금없는 내용을 밝혔다. 그러면서 "인수위가 부처별 업무보고에 대해 언급할 경우, 국민들께 불필요한 정책적 혼선을 불러오기 때문에 가급적 신중하게 공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혼란을 드리게 될 경우 정책에 대한 신뢰가 훼손돼 결과적으로 실행력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날은 정부부처의 업무보고 첫날인데다 박 당선인이 일자리 창출이나 대북 문제 등과 관련된 중소기업 살리기와 튼튼한 안보를 강조했기에 중소기업청과 국방부에 대한 업무보고 내용은 큰 관심사였다. 한 여권 인사는 "인선도 아니고 각 부처의 주요 업무현황과 새 정부의 정책방향을 논의하는 업무보고 내용을 '밀봉'한 전례 없는 행태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도 하기 전에 국민의 알권리를 가볍게 여기는 것"이라며 우려했다.

역대 인수위는 업무보고 내용을 대체로 상세히 브리핑했다. 5년 전 17대 인수위뿐 아니라, 15'16대 인수위에서는 업무보고 시간이 이번보다 길었지만 업무보고 직후 대변인의 설명이 반드시 뒤따랐다. 또 해마다 각 부처의 업무보고도 특별히 민감한 사항을 빼곤 사전에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왔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 김현 대변인은 "인수위가 업무보고 내용을 브리핑하지 않겠다면 '내가 알아서 할 테니 잠자코 기다려달라'는 말로 들린다"며 "인수위의 언론 통제가 3공, 5공 시절로 돌아간 건 아니냐는 의문이 든다"고 비판했다.

한편 인수위는 11일 전문위원 32명과 실무위원 3명 등 총 35명의 추가 인선을 발표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폭넓은 정책 검토를 위한 외부 전문가 영입"이라며 "공약과 관련된 업무를 제대로 챙기려다 보니 120여 명 정도론 부족해서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당선인의 선거 정책 참모들이 대거 포함돼 '작은 인수위'를 만든다고 해놓고 결국 조금씩 숫자를 늘려 덩치가 커졌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