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의 구전민요. 어느 때부터 불리기 시작하였는지 확실하지 않다. 고대로부터 조금씩 첨가'개조되면서 오늘의 노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남녀노소 사이에서 가장 널리 애창되는 이 노래의 기본 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 우리의 정서에 알맞다. 강원도 정선, 전남의 진도, 경남의 밀양에서 불리는 노래가 가장 유명하다. (힌트 매일신문 2일자 11면)
2. 연어목 연어과의 민물고기. 우리나라의 토종 물고기로 생김새가 송어와 아주 비슷하다. 그러나 몸길이는 송어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산소가 풍부한 강 상류의 맑은 물에서 살며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동해로 흐르는 강에 분포한다. 강원도 화천군에서 매년 이 물고기를 잡는 행사를 펼친다. (힌트 매일신문 2일자 12면)
3. 경북의 화산섬. 대한민국의 가장 동쪽에 있는 영토로 동도와 서도로 나뉜다. 조선시대에는 '우산도' '삼봉도' '가지도'라 불렀다. 1906년(광무 10년) 울릉군수 심흥택의 보고에 의해 오늘날의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 일본에서는 다케시마라고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힌트 매일신문 4일자 1면)
4.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 탁주'농주'재주'회주라고도 한다.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켜 이를 걸러 짜내 만든 이 술의 이름은. (힌트 주간매일 1월 31일자 4면)
5. 소아에게 흔한 질병 중 하나. 이비인후과나 소아청소년과를 찾아오는 어린 환자 중에서 감기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3세까지 약 70%의 유'소아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앓는다. 흔한 질병이지만 미숙한 면역기능 및 미숙한 이관 발달 등 여러 가지 문제가 관여되어 완전 해결이 어렵다. 치료와 예방이 중요하다. (힌트 주간매일 1월 31일자 13면) 출제'최창희기자
♣ 1월 24일 퀴즈 당첨자
▷스파밸리 초대권(2매)
천동환(대구 수성구 황금동)
▷이월드(옛 우방랜드) 이용권(2매)
정연준(대구 수성구 시지동)
▷팔공산온천관광호텔 초대권(2매)
정석희(대구 동구 불로동)
▷대구신교통카드'탑패스(1만원 충전)
김수정(울산시 남구 신정동)
◆ 1월 24일 퀴즈 정답
①서문시장 ②(팔공산) 갓바위 ③이승호
④빙어 ⑤춘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