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융 사고 10건 중 4건 중소서민 금융서 발생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보험료가 동결되고 카드사의 신용대출 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사와 카드사는 표준 이율 인하 또는 새로운 가맹점 수수료 체계 등을 이유로 보험료와 대출금리를 올리려다가 금융당국의 압박에 굴복했다.

12일 보험'카드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화재, 동부화재 등 생명'손해보험사들은 다음달 올릴 예정이던 보험료를 일제히 동결하기로 했다.

금융 당국은 최근 주요 보험사에 표준 이율 인하와 관계없이 실손보험료와 장기보험 등 갱신형 보험료를 묶으라고 구두 지시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사 주요 임원을 소집해 보험료 억제를 강하게 주문했다.

보험사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4월부터 표준 이율이 0.25% 포인트 내린 3.5%로 하향 조정된다. 이 때문에 보험사는 5~10% 보험료 인상 요인이 생겨 내달부터 신규 고객에 적용하려고 했으나 금융 당국의 강력한 제동에 걸렸다.

지난해 혹한과 폭설로 적자 규모가 커진 자동차 보험료도 최소 5% 이상의 인상 요인이 있으나 보험사들이 허리띠를 졸라매 인상하지 않을 방침이다. 자동차 보험료를 소폭 올리려다 보험사 이미지만 나빠져 '득보다 실이 많다'는 판단 때문이다.

새로운 가맹점 수수료 체계 도입으로 수익이 반 토막 난 카드사에도 비상이 걸렸다. 카드론, 할부, 리볼빙, 현금서비스 등 신용 대출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 때문이다.

저신용자의 가계 부채를 가중하는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의 연체 금리 역시 조정 대상이다.

신한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 등 대형 카드사들은 할부를 포함한 신용 대출 전 부문에서 금리 인하가 가능한 부문을 찾고 있다.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신용 대출 금리를 선제로 내리는 카드사들도 나온다. 삼성카드는 지난달 27일부터 리볼빙을 포함한 현금서비스 최고 이자율을 28.5%에서 27.9%로 내렸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