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2000년에 시행한 이후 13년 동안 큰 틀을 유지해온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로 강화되고, 복지 전달 체계도 접근성과 편의성이 뛰어난 지역 복지 허브(기존 동 주민자치센터)에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바뀐다. 또 OECD 기준에 비교하면 수만 명이나 모자라는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들이 살인적 업무에 시달리는 깔때기 현상을 해소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올 7월 7천 명을 더 늘리기로 확정됐다.
향후 5년간 사회복지 종합 컨트롤타워가 될 사회보장위원회는 '박근혜표 복지'의 핵심을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일하는 복지, 효율적 복지라는 3가지 큰 방향성으로 잡았다.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개별 복지는 대상자부터 대폭 늘렸다. 기존 빈곤 위험 계층인 차상위 계층을 최저생계비(2013년 4인 가구, 월 155만 원) 120% 이내로 하던 기준을 중위 소득(소득으로 순위를 매길 때 정중앙 소득) 50%(2013년 4인 가구, 월 192만 원)로 확대해 현재 340만 명에서 430만 명으로 90만 명 더 늘렸다. 수급 방식도 종전처럼 선정만 되면 생계'주거'의료'교육'자활'해산'장제 급여까지 일괄 지원했으나 이제는 대상자별로 달리 적용시킨다.
수급 대상자로 지정되어도 내 집이 있다면 주거비 지원은 되지 않는다. 또 소득이 있는 자녀가 있어도 돌보지 않으면 수급 대상자로 포함될 수 있다. 이 제도는 내년 10월에, 복지 전달 체계는 2014년 2월부터 적용된다. 확대되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최소화되도록 꼼꼼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동 주민센터를 지역 복지 허브로 개편하여 복지'고용'보건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것은 개별 수요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이들을 얼마나 생산적인 복지로 연결시키느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