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 80년대에는 TV를 '바보상자'라고 불렀다. 1954년 국내에 처음으로 TV가 소개된 뒤, 1980년 컬러 방송으로 전환하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 TV 화면 앞에 사람을 꼼짝하지 못하게 붙들어 둔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이 영화(榮華)가 끝날 것 같지 않더니 1990년대 중후반에는 컴퓨터가 TV의 자리를 물려받았고, 이젠 스마트폰이 이어받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3천200만 명을 넘어서고,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면 가만히 있는 사람보다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승객이 훨씬 더 많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특별한 이유없이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한다고 답한 비율이 74%나 된다. TV, 컴퓨터 시대와는 비교도 안 되는, 완전 '손 안의 바보상자'인 셈이다.
스마트폰은 여러 재미를 주지만, 사용자가 필요한 다양한 앱(애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을 찾고, 사용하는 재미가 으뜸이다. 기종에 따라 애플이나 구글의 앱 스토어에서 유'무료로 내려받아 사용하는데 양쪽의 앱 스토어에 등록된 것이 200만 개에 이른다. 웬만한 머리로는 어떤 아이디어를 내봐야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도 매일 수십~수백 개씩 새로운 앱이 등록된다고 하니 범인으로서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그 폐해도 많다. 가장 현실적인 문제는 학교에서 나타난다. 초'중'고 할 것 없이 학교는 스마트폰 비상이다.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전화벨, 문자음은 말할 것도 없고, 수시로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려 수업 진행이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아예 학교에는 가져오지 않도록 지도하고, 등교 때 강제로 거두기도 하지만 분실위험이 있고, 돌려주기도 번거롭다고 하소연이다.
최근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재할 수 있는 앱이 개발됐다. 공주교대와 한 중소기업이 공동 개발한 '아이스마트키퍼'다. 전화나 문자 등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앱이다. 학부모용도 있어 이를 설치하면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골머리를 앓는 정도가 좀 줄 것 같기도 하다. 현재는 일부 학교에서 시범적으로 활용 중이고, 홈페이지(www.iSmartKeeper.com)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무료 내려받기도 된다. 대구시교육청도 이 앱의 장단점을 잘 분석해 필요하다면 빨리 활용하는 것도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