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역사 인식 수준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한국사를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두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역사 교육 강화를 위해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많은 가운데 일부에선 다른 과목과의 형평성, 학생 부담 가중 등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는 상황이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 등이 지난달 이 같은 주장을 담은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박근혜 대통령도 최근 언론사 논설실장과의 간담회에서 역사 과목을 평가 기준에 넣어 성적에 반영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하지만 교육계에서는 찬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는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채택하는 데 찬성 입장이다. 12일 청와대와 국회, 시'도교육청 등에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에 포함시켜 달라는 내용의 건의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교총 측은 "수능 필수 과목으로 정하는 것이 역사 교육을 강화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며 "국가와 지자체가 설치해 운영하는 국'공립대와 경찰대, 사관학교 등의 입시에서 한국사를 필수로 한 뒤 점차 확대하고 현재 5단위인 한국사 수업 시수도 6단위 이상으로 늘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사회과목 교사'교수 모임인 한국사회과교육학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다른 과목과의 형평성, 학생 부담 가중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이곳 관계자는 "한국사 교육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다른 과목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고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하고 다른 과목 2개를 더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다"며 "학생들의 역사의식을 높이기 위해 한국사에 시간만 많이 배정할 게 아니라 역사를 가르치는 방식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사안을 두고 교육부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과정의 틀을 건드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국사 수업 시간을 늘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은 대입제도와 교육과정의 큰 틀에서 봐야 할 문제"라며 "한국사 교육 강화를 위해 수능 필수 과목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