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악 전력 위기…다음주 '고강도' 절전 규제

기업 등 2천여곳 의무 감축, 피크 시간대 전기요금 할증

올여름 사상 최악의 전력 위기가 예고된 가운데 다음 주부터 전력 다소비업체의 사용량 의무 감축 등 강도 높은 절전 규제가 시행된다.

전력 당국은 예비전력이 마이너스 103만㎾까지 떨어질 수 있는 8월 둘째 주를 최대 고비로 보고 전압 하향조정, 비상발전기 가동, 공공기관 냉방가동 중지 등의 비상대책을 마련했다. 8월 둘째 주에는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전력수요가 공급을 100만㎾ 이상 초과하는 위기 상황이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비상대책을 쓰지 않았을 경우 공급은 7천767만㎾, 수요는 7천870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력 당국은 우선 민간 자가발전기 가동(50만㎾), 세종열병합 시운전 출력(최대 10만㎾), 원전 한울 4호기 재가동 시점 단축 등을 통해 공급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그러나 이미 최대공급치에 근접해 추가 여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5일부터 전력 다소비업체 등에 대해 고강도 절전규제가 시행된다. 5일부터 30일까지 계약전력 5천㎾ 이상의 전력다소비 업체·기관 등 2천637곳에는 하루 4시간(오전 10∼11시, 오후 2∼5시)씩 전력 사용량을 3∼15% 의무적으로 감축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를 통해 220만∼280만㎾의 전력수요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또 8월 말까지 한전-소비자 간 약정을 통한 산업체 휴가 분산으로 120만∼140만㎾의 전력수요를 감축하기로 했다. 이어 피크일·피크시간대는 전기요금을 할증하고, 비피크일·비피크시간대는 할인하는 선택형 피크요금제 실시 대상을 지난 겨울(806가구)에 비해 1.7배 정도 늘어난 1천355가구로 확대한다. 이밖에 실내 냉방온도 제한, 문 열고 하는 냉방영업 단속, 공공기관 절전, 주택용 절전포인트제(7∼8월 238만가구) 등을 통해서도 50만∼100만㎾의 전력사용량을 줄일 방침이다.

전력 당국은 이같은 대책과 함께 이상 기온으로 인한 수요폭증, 대형 발전기 불시고장 등 돌발 변수에 대비한 대책도 세웠다. 예비력이 300만㎾ 이상인 전력수급경보 관심 단계에서는 전압하향조정(70만㎾), 공공기관 비상발전기 500여대 가동(10만㎾), 공공기관 냉방기 가동 중지(25만㎾)등의 조처를 취한다. 예비력이 더 떨어져 300만㎾ 선이 붕괴되는 주의 단계에서는 화력발전기 45대 극대출력 운전(30만㎾), 긴급절전 수요감축(150만㎾, 426호 약정), 공공기관 자율단전(40만㎾) 등까지 검토해놓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