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꼬인 정국 박 대통령 돌아오면 풀릴까

11일 귀국 여야 물밑 접촉 활발

정치권의 관심시계는 11일로 맞춰졌다. 러시아에 이어 베트남을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이날 귀국하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꼬일 대로 꼬인 정국을 박 대통령의 귀국을 통해 풀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분위기는 서서히 무르익고 있다. 지난주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40여 일째 노숙 중인 민주당 김한길 대표를 깜짝 방문해 여야 대치를 해소할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최 원내대표는 김 대표에게 "해외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귀국하면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도 이달 4일 민주당 의원 4명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추석 전에 현 정국을 풀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여권 인사는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 원내대표가 김한길 대표를 전격 방문해 정기국회 정상화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사전에 청와대와의 교감이 있었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면서 "박 대통령 귀국 후 귀국보고회 형식으로 여야 대표를 포함한 3자 회동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도 8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외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는 즉시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의 단독회담을 통해 대치 정국을 풀어야 한다"며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자주 만나서 국정 문제를 대화로 풀어가라는 게 민심의 요구"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청와대와 민주당이 '동상이몽'(同床異夢)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외투쟁 중인 민주당은 대통령의 직접 사과나 해명에 가까운 말을 듣는 것을 '회군'의 명분으로 삼고 있는 반면,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이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생각이 확고하기 때문이다.

한 정치권 인사는 "여야 모두 경색 정국을 이대로 방치만 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존재한다"면서 "청와대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정기국회를 지금처럼 '개점휴업' 상태로 내버려둘 경우 주요 국정과제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국민들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측면에서 추석 전 야당과의 전격 회동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