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산 광역전철망 구축 적극 검토를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 구간 연장에 대한 지역 여론이 높아지면서 종점역 등 사업 범위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1호선 연장 사업 계획은 하양읍을 종점역으로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대와 경산1산업단지(진량)까지 아우르는 광역전철망 구축으로 계획을 확대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고 연장 효과 또한 극대화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경산시 주최로 열린 교통 정책 학술 심포지엄에서 교통 전문가들은 이런 점을 반영해 도시철도 연장 추진 전략을 제기했다. 현 시점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가늠하기 힘들지만 만약 계획이 확정되고 기본계획 수립 등 사업이 구체화된다면 대구대와 경산산업단지를 포함한 1, 2호선 순환선 구축까지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래야 이용 편의성은 물론 경제성, 지역 발전 등 연장에 따른 효과를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광역전철망의 필요성은 최근 개통 1주년을 맞은 도시철도 2호선 경산(영남대) 구간 연장에서도 여실히 증명됐다. 동일 생활권인 대구와 경산이 2호선에 이어 도시철도 1호선과 유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양 지역민의 교통 편의성 제고와 균형 있는 도시 개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 같은 광역전철망 구상에는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필두로 국비 예산 확보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머리를 맞대 저비용'친환경 시스템, 지역 균형 발전 등 치밀한 전략과 논리를 개발한다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결국 광역전철망 구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열쇠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다. 지역 여론을 토대로 정부'정치권과의 교감에 보다 힘을 기울이길 당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