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참외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는 성주지역 참외 농가들이 고령화와 가격 하락, 농산물 수입 등으로 갈수록 참외 재배를 포기하고 있다.
성주군에 따르면 참외 재배농가는 2010년 4천795가구(재배 면적 4천11㏊)에서 2011년 4천682가구(3천969㏊), 2012년 4천549가구(3천953㏊), 2013년 4천433가구(3천879㏊)로 줄었다. 2013년 재배 농가는 2010년 대비 362가구, 재배 면적은 132㏊나 줄어든 것. 10㎏짜리 한 상자에 최고 14만원을 웃돌던 참외 가격도 최근 들어 12만원 선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성주지역 참외 재배농가와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것은 농촌 고령화 때문에 농사를 지을 인력이 부족한데다 참외 값이 떨어지면서 그만큼 수익이 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참외 출하 시기에 오렌지 등 외국 농산물이 대거 유입됐기 때문.
사정이 이렇게 되자 성주군은 참외 재배농가 및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노동력 절감을 위한 시설 현대화와 신규 후계 농업경영인 육성, 해외 판로 개척 등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성주군은 노동력 절감 및 시설현대화 사업으로 지난해 1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참외하우스 5천 동에 대해 파이프를 교체했다. 또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고 고품질 참외를 생산하기 위해 77억원을 들여 참외하우스 7천 동에 보온덮개 자동 개폐기를 설치했다.
연간 신규 후계 농업경영인 25명(25억원)을 육성하고 있으며, 우수 후계농 추가 지원사업 5명(5억원), 농어촌진흥기금 지원 9명(14억700만원)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밖에 일본과 대만 등 해외 수출을 위한 판로 다변화도 추진하고 있다.
성주군 선남면 한 참외 재배농민은 "외국 농산물과 경쟁할 수 있는 농업을 이끌어갈 차세대 후계 농업인 육성이 절실하다"면서 "수출량 증가에 따른 물류비 지원이 부족해 수출 농가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성주군 농정과 관계자는 "참외 재배농가와 재배면적은 줄어들지만, 노동력 절감 등으로 인해 가구당 재배면적은 늘어나는 추세"라며 "전국 참외 재배면적의 9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유통구조 개선 다변화와 물류 혁신, 연작장해극복 기술개발 등 기술혁신을 꾀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