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 스마트센서산업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6년간 총 1천508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핵심 기반기술 개발에 576억원, 자동차'로봇 등 32개 센서제품 개발 및 상용화에 824억원, 인력 양성에 52억원 등을 투자한다.
입는 스마트 기기, 국민 안전'건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 현재 추진 중인 13개'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연계해 스마트 센서제품을 개발하고 해외시장 진출도 모색하기로 했다.
시험,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는'센서 산업화 지원센터'를 만들고 기업맞춤형 고급 센서인력을 연간 60여 명을 키울 계획이다.
정부가 센서산업 육성에 나서는 것은 모든 사물이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시대를 맞아 센서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센서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기술력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국내 센서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점유율은 23%에 불과하다. 8대 핵심 센서제품의 국내 자급률을 보면 스마트폰의 이미지 센서는 약 50%, 가스'수질 측정용 화학 센서와 광학 센서는 5∼10%다. 자기, 영상, 레이더 등 나머지 센서제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세계 센서시장 규모는 2012년 796억달러에서 2020년 1천417억달러로 연평균 9.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국내 시장은 같은 기간 54억달러에서 99억달러로 연평균 10.4% 성장이 예상된다.
해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이용이 활발하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시내 중심가의 본(Born) 시장에 인구 밀집도를 실시간으로 파악, 조명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설치해 연간 30% 이상의 전력 소비를 아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