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창극, 14일만에 총리후보 전격 자진사퇴

총리 후보 두번재 사퇴,친일 논란 못이겨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박근혜 대통령을 도와드리고 싶었지만 지금 시점에서 제가 사퇴하는 것이 박 대통령을 도와드리는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총리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문 후보자는 지난 10일 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가 자신이 언론인 시절 쓴 칼럼과 교회 강연 동영상 발언 등을 통해 친일논란을 비롯한 각종 의혹이 불거지자 14일 만에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안대희 전 후보자에 이어 문 후보자마저 친일과 자질논란 끝에 국회에 청문요구서도 제출하지 못한 채 조기 낙마함에 따라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대개조론'을 내세워 정국을 수습하려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구상도 적잖은 타격을 입게 됐다. 또 청와대 공직자인사위원장으로 두 차례의 총리 인선과 개각을 주도해 온 김기춘 비서실장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후보자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반박하면서도 "총리 후보로 지명받은 후 이 나라가 더 극심한 대립과 분열 속으로 빠져들었다"며 자진 사퇴 입장을 밝혔다.

문 후보자는 "박 대통령께서 나라의 근본을 개혁하고 분열된 이 나라를 통합과 화합으로 끌고 가시겠다는 말씀에 저도 조그마한 힘이지만 도와드리고 싶었다"며 총리 후보직을 수락한 배경을 밝힌 후 사퇴의 변을 15여 분 동안 조목조목 밝혔다.

특히 문 후보자는 자신이 자유민주주의 신봉자라고 말하면서 "현재와 같은 상황은 박 대통령께서 앞으로 국정운영을 하시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됐다. 또 이 나라의 통합과 화합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저의 뜻도 무의미하게 됐다"며 사퇴이유를 설명하면서도 국회가 인사청문회도 열지 않겠다며 사퇴를 압박한 데 대해서는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법을 만들고 법치의 모범을 보여야 할 곳이 국회인데, 대통령께서 총리 후보로 임명했으면 국회는 법절차에 따라 청문회를 개최할 의무가 있다"며 "야당은 물론 여당의원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이러한 신성한 법적 의무를 지키지 않고 저에게 사퇴하라고 했는데, 국회가 스스로 만든 법을 깨면 이 나라는 누가 법을 지키겠는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문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직접 해명하겠다는 애초의 강경한 입장에서 이날 자진사퇴로 급선회하게 된 것은 국가보훈처가 문 후보자의 조부에 대해 애국지사로 추정된다고 확인해 주는 등 '친일논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명예회복이 이뤄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애초 이날 오전 주재키로 한 국무회의를 정홍원 총리에게 넘기고 공식일정 없이 청와대에 머물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