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우려되는 대구경북 부동산 경기 과열

9'1 부동산 대책 등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 완화책으로 인해 지역 부동산 시장이 활황세를 넘어 과열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일각에서는 취득세'양도소득세 인하나 분양가상한제'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 후속 조치를 통해 완전한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자칫 이런 열풍이 가격 왜곡 등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공산이 커 부동산 경기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최근 지역 부동산 시장은 신규 아파트 청약 열기에다 기존 아파트'주택 매매 가격 상승세가 가파르고 경매 시장의 열기도 대단하다. 여기에 한탕을 노리는 '떴다방'까지 기승을 부리는 등 부동산 열기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최근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부동산 시장이 대구경북이라는 사실은 올 상반기에 공급된 신규 아파트 청약률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7월 말 현재 신규 분양 단지 21곳 중 대구는 18곳, 경북은 16곳 중 9곳이 순위 내 청약 마감됐다. 특히 경산은 7월 말 기준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무려 16%를 넘어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과거 수도권의 부동산 과열을 넘어서는 열풍이 지역에 휘몰아치고 있는 것이다.

불과 2, 3년 전만 해도 대구경북은 아파트 분양 시장의 무덤으로 통했다. 그러다 도시철도 3호선 개통을 앞두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역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상승 곡선을 타더니 올 들어 과열 분위기가 확연해졌다. 이 같은 부동산 시장 열기는 신규 아파트의 공급 부족이 그 첫 번째 원인이다. 여기에 극심한 전세난까지 겹치면서 실수요자들이 분양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를 틈타 불법 떴다방까지 설치면서 시장을 과열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이상 과열 현상으로 인해 실수요자가 입게 될 피해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 주택 시장이 과열될 경우 분양권 전매율이 치솟고 호가 부풀리기 등 부작용이 예외 없이 나타났다. 그러다 실물 경기가 급속도로 나빠지고 공급은 넘치는 등 분위기가 반전될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실수요자들이 입게 된다.

정부 당국은 당장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만 정책의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적절한 수위 조절을 통해 부동산 시장의 안정에도 신경을 바짝 기울여야 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우리 경제에 주름살을 만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거꾸로 부동산 시장의 과열 등 쏠림 현상이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산이 높으면 골도 깊은 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