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호남 국회의원 교류가 진정한 동서화합을 이끌어내려면

경북과 전남 지역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동서화합포럼'(포럼) 소속 의원들이 어제 국회 사랑재에서 만나 '경북'전남 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지난 3월 구미에 있는 박정희 대통령 생가 방문 이후 8개월 만의 재회이다. 이날 만남에는 경북과 전남 국회의원 26명 이외에 김관용 경북지사, 이낙연 전남지사 등 두 지역 자치단체장을 포함, 모두 70명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두 지역 단체장까지 한자리에 모여 공동협력을 다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런 '성황'에 걸맞게 성과도 알찼다. 상대 지역을 대상으로 반복되어온 정치 공세를 줄이고, 정치'문화'사회적 교류의 폭을 넓혀가는 것은 물론 특히 내년도 지역 관련 사업예산도 함께 확보하기로 약속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 의원들은 전남 숙원사업, 전남 의원은 경북 숙원사업 예산 확보를 위해 교차지원을 하고 공동전선을 펼쳐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는 '포럼'이 지향하는 '화합'이 말이 아니라 실질적인 협력으로 구체성을 갖춰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아직도 가야 할 길은 멀다. 우선 동서화합포럼이 단순히 국회의원 차원의 행사에서 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만남에 지역 단체장이 대거 참석한 것은 일단은 발전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지만 참여폭을 시민'사회'문화 단체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포럼'의 논의 주제가 '정치적'으로 이득이 되느냐 안 되느냐에만 쏠릴 수 있는 국회의원들만의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폭넓어질 수 있다. 그럴 때 '동서화합'은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포럼'을 지역 이기주의를 고리로 한 '야합'쯤으로 의심하는 중앙의 시각을 불식하는 것이기도 하다. '포럼'에 대해 중앙 언론은 예산 국회와 선거구 조정을 앞둔 지역 간 공조라고 보도하고 있다. 이런 보도에는 '동서화합포럼=지역 이기주의'라는 의미가 깔려있다. 지역의 이익을 위해 지역끼리 뭉치는 것은 당연함에도 '지역 이기주의'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포럼이 국회의원의 정치적 이익만을 지향하는 모임이 아님을 확실히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