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기에 처하면 모름지기 버려라'…위기십결

위기십결/마수취안 지음/이지은 옮김/이다 펴냄

역사 속에서 성공한 정치가와 기업가는 공통적으로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 공격할 때와 방어할 때를 알았다. 그들은 변화를 재빨리 포착했으며 필요에 따라 포지션을 바꿀 줄 알았다. 공격해야 할 때, 때를 놓치지 않고 과감하게 나섰고, 방어가 우선일 때는 더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빨리 물러났다. 그들은 특정한 이론이나 전략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널리 받아들였고, 그 의견을 승리와 성공의 발판으로 활용했다.

'위기십결'은 '바둑을 둘 때 명심해야 할 10가지 비책'을 뜻하는 말이다. 이 책은 중국 역사 속의 다양한 일화를 통해 삶 속에서 위기에 처했을 대 어떻게 나아가고 어떻게 물러나야 하는지 보여준다.

'한나라 고조 시절, 영포는 회남왕으로 봉해진 뒤 큰 권력을 쥐었다. 병권도 그의 손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유씨 성이 아닌 까닭에 한나라 왕실과 조정이 자신의 충심을 의심할 것을 염려해 황제의 심복들을 극진히 대했다. 황제의 심복들에게 잘 보인 덕분에 그의 지위는 공고한 것 같았다. 그러나 그는 아랫사람에게는 냉혹하기 그지없었다. 옆에서 아랫사람들에게도 인정을 베풀어야 한다고 충고했지만 그는 듣지 않았다.

"반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낸 내가 다른 사람도 아닌 내 부하들을 두려워하란 말인가! 내가 황실과 조정 대신들을 사귀는 것은 어쩔 수 없다지만 부하들에까지 격식을 갖추고 인정을 베풀라니! 굳이 그럴 필요는 없다."

어느 날 그의 애첩이 아파 의원을 찾아갔다. 의원은 영포에게 잘 보이기 위해 애첩을 극진히 대접했고, 애첩은 그 뜻에 따라 의원을 영포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했다. 이에 영포는 애첩과 의원이 간통했다고 믿고 의원을 잡아들이라고 했다. 증거도 없었고 사실도 아니었다. 영포의 서슬에 위협을 느낀 의원을 달아났고, 왕실로 들어가 영포가 반역을 꾀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이 소식을 들은 유방은 직접 군사를 이끌고 영포 토벌에 나섰다.' 이 책의 '강한 군대도 불만은 이길 수 없다.' 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은 '이기려면 이기기를 탐하지 말라'로 분노가 나를 굴복시킨다, 작은 것을 탐하면 큰 것을 잃는다, 좋은 일이 쉽게 온다면 경계하라, 말로써 이기려 하지 말라, 등이 포함돼 있다.

2장은 '경계에 들어갈 때는 완만하게 하라'로 잠시 멈춘다고 늦은 것은 아니다, 이기려면 내 돌부터 지켜라, 화려함보다 강직함을 배우라, 등이 포함돼 있다. 3장은 '공격하기 전에 나부터 돌아보라'로 나를 바로 세워야 세상이 나를 찾는다, 평범함과 무능을 자랑하지 마라, 등으로 구성돼 있다.

4장은 '돌을 버리더라도 선수를 쳐라' 편으로 이익을 따지면 하수, 때를 읽으면 상수, 자신을 막다른 길에 두지 마라, 돌멩이로도 바위를 이길 수 있다, 등이 포함돼 있다. 5장은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하라'로 치사해도 독하게 살아남아라, 길이 멀어 보여도 뜻만은 가까이, 등을 포함한다.

6장은 '위험에 처하면 모름지기 버려라'편으로 세가 약하다면 세를 끌어들여야, 물고기를 잡으려면 그물부터 짜라, 어긋난 한 수에 대마도 무너진다, 등이다. 7장은 '경솔하지 말고 신중히 행동하라' 편으로 남다름을 함부로 과신하지 말라,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등이다.

8장은 '상대가 움직이면 같이 움직여라' 로 그 길이 아니어도 길은 있다, 가장 뛰어난 묘수는 정석이다, 강한 군대도 불만을 이길 수 없다, 등이다. 9장은 '상대가 강하면 나부터 돌보라'로 서두를수록 이용당할 뿐이다, 자신의 운명을 남에게 미루지 마라, 때를 알고, 때를 다스릴 줄 알아야, 등이다. 마지막 10장은 '세력이 약하면 조화를 도모하라'로 싸우지 않고도 이기는 법, 능력은 결코 홀로 설 수 없듯이, 등이다.

지은이 저자 마수취안(馬樹全)은 중국 출신의 고적(古籍) 전문가로, 역사서 및 옛 경전들을 오늘날의 시각에 맞게 재조명하고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쓰는 일을 하고 있다.

545쪽, 2만1천원.

조두진 기자 earf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