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이 19일 오후 6시 대구 수성관광호텔에서 모임을 갖고 남부권 신공항 문제를 담판 지을 예정이다.
대구·경북을 비롯한 울산·경남은 '1시간내 접근 가능한 공항' 과 '기존 공항 폐지'를 조건으로 입지타당성 조사를 벌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부산은 현재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입지'와 '기존 공항(김해공항 등) 존치' '가덕도 입지와 민자공항 추진' 등을 내세우며 타 시도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다음달이 현 정부내 신공항 건설 입지 타당성 조사 마감 시한인데다 국토부는 5개 시도간 합의만 종용하고 있어 오늘 회동에서 지자체 수장들의 대타협이 꼭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합의가 나오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부산을 제외한 대구, 경북, 경남, 울산 등 4개 시도지사들은 정부의 사전 타당성 용역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부산은 독자적으로 신공항을 건설하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은 독자적으로 중국자본을 끌어들여 신공항을 건설하겠다는 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서병수 부산시장은 오늘 회동에서 국토부장관과 5개 시도지사가 참여하는 TV토론회를 제안할 것으로 알려져 이같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서 시장은 또 서승환 국토부장관 면담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 시장은 지난 17일 "부산의 안(김해공항 존치+24시간 운영+활주로 1본)과 대구·경북의 안(기존 공항 폐쇄+1시간 이내 접근성+활주로 2본)을 동시에 올려 이 방안을 가지고 19일 회동에서 대구·경북을 설득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서 시장의 발언은 "민자공항은 신공항을 포기하는 것"이라는 타 단체장들의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토부는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중재에 전념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합의가 안 될 경우 대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권 5개 시·도가 합의에 실패할 경우 정부가 단독으로 입지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뉴미디어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