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홀대하는 네이버의 슈퍼 갑(甲)질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갑질이 여전하다. 지난해 말 전국적인 화제였던 대구시 달서구 '송현동 돈벼락' 사건에 따른 후속 보도로 본지는 50대 남성이 500만원을 본사 편집국에 맡긴 사연을 29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많은 국민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 사연이었지만, 누구도 본지 기사를 네이버 모바일 뉴스에서 읽을 수 없었다. 지역 신문 기사에 대해서는 네이버가 모바일 뉴스 서비스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네이버는 서울 지역 언론사가 본지 보도를 인용한 기사를 모바일 뉴스 메인 페이지에 올렸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매일신문은 인링크 서비스(네이버가 언론사에 비용을 내고 기사를 편집해 뉴스 메인 화면에 보여주는 것) 제휴사가 아니며, 회사 정책상 지역 언론사와는 모바일 인링크 제휴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 말은 지역 뉴스를 서울 언론이 보도하지 않으면 모바일 뉴스로는 서비스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는 지역민을 무시하는 것으로 오로지 서울 중심 시각의 뉴스만 공급하겠다는 것과 같다.

네이버는 현재 국내 PC 검색 시장의 77%를 차지하며, 모바일 검색 시장의 점유율도 이에 버금갈 것으로 추정된다. 주식시장에서는 30일 현재 시가총액이 23조여원으로 SK텔레콤, 삼성생명, 포스코 등 내로라하는 회사를 제치고 국내 7위에 올라 있는 거대 공룡회사다. 아무리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임을 고려하더라도, 네이버와 같은 거대 기업의 지역 홀대는 도덕성이나 윤리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슈퍼 갑질이다.

문제는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런 네이버의 갑질을 견제하려고 지난 2013년 10월 인터넷 포털 업체에 대한 '검색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 안에는 경쟁 서비스 차별 금지, 원본 콘텐츠의 우선 노출 등이 포함돼 있다. 발표 당시에도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인데다 독과점 구조를 해결하는 대책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

네이버의 이러한 횡포는 고스란히 지역의 피해로 돌아온다. 예를 들어 남부권 신공항 건설이나 수도권 규제 완화 등은 지역의 시급한 현안이지만, 모바일로 뉴스를 보는 사용자는 지역의 목소리를 아예 들을 수 없다. 오로지 서울 중심 시각으로 왜곡한 뉴스만 보게 된다. 이는 포털 사이트가 뉴스의 왜곡을 부추기는 것과 같다. 네이버는 이러한 갑질을 당장에 멈춰야 한다. 또한, 정부도 네이버의 지역 홀대 정책을 당연히 제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