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권 취수원 이전 논의 민관협의회, 시간 끌어서는 안 돼

이웃의 절박한 현실, 시간 끌기 식 외면 않아야

원점 재검토 아닌 상생과 배려 정신 필요할 때

남유진 구미시장이 17일 대구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구미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대구와 구미시가 추천한 각각 10명 정도로 협의회를 구성해 대구권 취수원 이전 문제를 논의하자는 것이다. 남 시장은 "취수원 문제로 대구와 반목하는 것은 구미 시민도 원하지 않는다"며 "협의회는 여러 사안을 원점에서 검토해 결론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남 시장은 "협의회에서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국토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 일체의 사전 절차를 추진하지 않아야 한다"고 전제했다. 대구시는 이를 수용할 뜻을 밝혔다.

그동안 대구권 취수원 이전을 절대 반대했던 구미시가 '대화'를 하겠다며 나선 것은 고무적이다. 사실 취수원 문제는 지난 7년 동안 구미시의 강력한 반대로 최소한의 협의조차 없이 표류했다. 대구와 구미의 협의로 해결이 어렵자 정부가 나선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2일, 한국수자원공사와 공동으로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를 내놓았다. 대구권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도 물 부족 현상이나, 수질에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다. 이 용역 결과에 대해 구미시와 환경단체는 결론을 정해놓고 짜깁기 식으로 맞춘 것이라며 반대했다.

구미시의 태도 변화 이면에 남 시장의 정치적 의도나 다른 속셈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의해놓고 이를 빌미로 다시 시간을 끌려는 것은 절대로 안 된다. 당장 취수원 이전을 합의하더라도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건설까지는 7년여가 걸린다. 더는 낭비할 시간이 없을 만큼 대구권의 식수해결 문제는 절박하고, 대안도 마땅치가 않다.

구미시의 요구를 대구시가 받아들이기로 결정한 만큼 양측은 민관협의회 구성부터 빨리 마쳐야 한다. 그러나 협의회는 대구권 취수원 이전 문제를 처음부터 다시 논의해서는 안 된다. 이미 찬반 주장이 충분하게 드러난 만큼 장단점을 검토해 빠른 결론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남 시장이 언급한 원점 재검토는 적절하지 않다.

대구권 취수원 이전 문제는 누가 이익을 보고, 손해를 본다는 지역 간 갈등의 문제가 아니다. '상생과 배려'라는 대승적 차원의 결론 도출이 협의회를 통해 나와야 한다. 그리고 그 배려에 대해서는 마땅히 합당한 정부 차원의 대우가 필요하다. 이는 대구와 구미가 머리를 함께 맞대 고민하고 풀어가야 하지, 찬성과 반대를 전제한 힘겨루기 식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