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성1호기' 계속운전과 관련한 의혹들

◆노후 원전 없으면 전력수급 비상? 2012년 전력생산량 0.8% 불과

주민들의 의견 수렴 없이 5천600억원을 들여 계속운전 준비를 마친 뒤 이와 관련한 심사에 들어간 월성원자력발전소1호기는 마치 '한 편의 코미디' 같다는 이들이 많다.

정부는 전력 수급 기본계획을 들어 에너지 수급에 문제가 있다고 했지만, 월성1호기가 멈춰 서 있었던 기간 동안(2012년12월~현재) 아무런 문제 없이 전기가 공급됐다.

정부의 7차 전력 수급 계획만 봐도 그렇다. 계획은 2029년까지 15년간 장기 전력 수요 전망을 담고 있는데, 눈에 띄는 부분이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를 폐로해도 전력 수급은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가 가동 중단되더라도 설비예비율이 2025년까지 20%를 넘기 때문에 이들 원전과 전력 수급을 연계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에서는 월성1호기 등 다른 노후 원전이 계속운전만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안전도 경제성도 무시한 원전 정책'이라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 월성1호기가 4년간 생산한 전력량은 2012년 428만7천645㎿, 2011년 292만7천603㎿, 2010년 0㎿, 2009년 126만8천189㎿ 등이다. 압력관을 교체한 2012년 생산전력은 우리나라 전체 전력생산량 가운데 0.8%에 해당하는 것으로, 월성1호기 폐쇄가 전력난으로 이어진다는 한수원 등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게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환경단체들은 월성1호기가 주민들의 뜻도 묻지 않고 설비 개선을 마친 책임을 면하기 위해 계속운전 당위성을 전력 수급으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봤다.

◆수면연장 5600억 투입으로 충분? 캐나다 4兆 비용 들어 폐쇄 결정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캐나다지부는 최근 월성1호기의 수명 연장 비용을 축소 공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동일한 원자로인 캐나다 젠틸리2호기가 4조원의 설비 개선 비용이 들 것으로 보여 폐쇄 결정했는데, 월성1호기가 수명 연장을 위해 5천600억원이 소요됐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주장이다. 월성1호기와 젠틸리2호기는 상업가동 시기와 설계수명 만료 연도가 2012년으로 동일하다.

캐나다지부 측은 "캐나다에서 원전 수명을 연장할 경우 최신 안전기술기준이 적용되기 때문에 신규 원전을 짓는 것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비용이 발생한다. 월성1호기의 설비 개선 비용이 젠틸리와 비교, 지나치게 적은 수준이어서 비용이 완전 공개되지 않았거나 수명 연장에 느슨한 안전기술이 적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한편 젠틸리가 월성1호기 수명 연장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한수원 측은 "기술적 안전성과는 무관하게 정치적 이유(퀘백당 집권)로 폐쇄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캐나다원자력협회(CNA) 측은 그린피스 캐나다지부와 비슷한 경제성 측면에서 폐쇄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CNA 홍보 담당자 말콤 버나드 씨는 "젠틸리2호기의 폐쇄는 수명 연장에 따른 투입 비용 대비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판단에 의한 것이다. 특히 이곳 수력발전소에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점도 원전 폐쇄의 큰 이유가 됐다"고 했다.

포항 박승혁 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