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훈민정음 해례본 훔친 뒤 불 지른 듯" 배익기 씨 화재 후 첫 말문

"일부 낱장 포장 작은방 보관, 3일 전 방송취재 마음에 걸려"

배익기 씨가 화재 현장에서 불에 그을린 자신 소유의 금고를 주시하고 있다. 고도현 기자
배익기 씨가 화재 현장에서 불에 그을린 자신 소유의 금고를 주시하고 있다. 고도현 기자

"훈민정음 해례본(상주본)이 일부 불에 탔을 수도 있지만 화재 발생 전에 도난당했을 가능성이 더 큽니다."

해례본 소장자로 알려진 배익기(52'상주) 씨의 자택과 고서적 등이 불에 전소된 사건(본지 27일 자 2면 보도)과 관련, 해례본의 피해 여부를 확인해 주지 않던 배 씨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30일 현장 합동정밀감식을 시작하자 이같이 주장, 수조원 가치를 지닌 '해례본 찾기'가 또다시 꼬여 들고 있다.

배 씨는 이날 기자에게 "해례본 일부는 외부에 있지만 일부는 낱장으로 포장해 불이 난 작은방(고서적 보관방)에 보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화재 3일 전 모 방송사 왕모 기자가 카메라 장비를 들고 허락 없이 작은방에 들어와서 20~30분 동안 수색하고 촬영을 해 간 것이 마음에 걸린다"며 "아마도 그때 해례본이 이 방에 있는 것이 확인됐고 그러고 난 다음에 누군가가 26일 해례본을 훔쳐 달아나면서 불을 지른 것 같다"고 주장했다.

배 씨는 또 "2011년 8월 경찰에 해례본 절도 혐의로 잡혀갈 때도 해례본 일부는 이 방(작은방)에 있었다"며 "당시 문화재청이 이 방을 여러 차례 수색해 해례본의 존재 사실을 알았으나 모른 체한 것 같다. 석방(2012년 9월 7일)돼 집에 돌아오니 해례본 일부가 그대로 있더라"고 했다.

배 씨는 여기까지만 이야기해 줄 수 있다며 더 이상 할 이야기가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경찰과 문화재청의 반응은 터무니없다는 입장이다. 여러 정황상 해례본이 전소됐거나 도난당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일부에서는 "해례본을 영원히 숨기기 위한 배 씨의 연막술이다"라는 반응도 내놨다.

하지만 경찰은 방화 가능성 등을 포함해 불이 난 이유와 훈민정음 해례본 피해 여부를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상주 고도현 기자 dory@msnet.co.kr

[영상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