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방침에 따라 경상북도의 수도권기업 유치 정책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각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많은 지방 기업들이 수도권으로의 진출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수도권기업의 지역 유치를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세제, 금융, 행정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투자유치 역량을 쏟아붓고 있다.
경북도는 국가 균형발전 정책의 하나로 지난 2004년부터 수도권기업 이전 사업에 목을 매 왔다. 하지만 성과는 그리 좋지 못했다. 2011년까지 5개 업체 이전에 성공했을 뿐이었다. 게다가 이들 업체들은 대부분 영세 기업들이 대부분이어서 올해 현재 3곳이 폐업하고 2곳만 가까스로 정상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결국 경북도는 지역에 유치할 수도권기업들의 전략을 수정했다. 양보다 질적인 면에 치중을 하겠다는 의미다. 경북도 투자유치실 관계자는 "그동안 하나라도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업 내적인 데이터보다 숫자에만 치중했더니 유치실적은 물론 향후 자리매김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
경북도가 기업 실적으로 눈을 돌리자 기술력과 자금력이 풍부한 기업들이 지역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다. 2013년 바이오라이트를 시작으로 한국인닥타썸, 디알젬, 윈텍스, 최근 상승철강까지 5개의 건실한 업체가 지역을 찾았다. 또 조만간 서울 구로에 있는 ㈜턴투가 상주 청리농공단지에 이전할 경우 6개 업체로 늘게 된다.
경북도는 기술력과 자금력이 우수한 이들 업체의 이전으로 기존 지역 기업들과의 납품, 협력 등에서 지역산업 발전에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북도 이인선 경제부지사는 "우수한 수도권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금 지원책은 물론 행정서비스를 아낌없이 주고 있다"면서 "특히 경북도는 산업단지 분양 때 수도권 이전기업 특별분양(수의계약)을 제시하는 등 타시도와 차별화 정책을 펴고 있는데,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부지사는 "도민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업유치가 유일한 해법이라는 생각이다. 경북에 투자하길 잘했다는 말이 나올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