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바이러스가 전염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아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메르스를 다른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는 연구 논문이 나와 주목받고 있다.
메르스 확산세가 숙지지 않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방역 당국은 감염 경로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방역망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독일 본 대학 바이러스학 연구소의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교수 연구팀은 최근 '랜싯'에 게재한 논문에서 무증상 메르스 전파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2년 12월부터 1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 전역에서 1만9명의 혈액 샘플을 확보해 메르스 항체 보유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15명(0.15%)의 혈액에서 항체가 발견돼 메르스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인구 2천734만 명 중 0.15%는 4만1천 명에 이른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르스 확진 환자가 1천여 명에 불과하다는 공식 집계와 큰 차이가 난다. 상당수 감염자가 증상을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서 스스로 치유된 셈이다.
연구팀은 낙타와 자주 접촉하는 목동과 도축업자의 메르스 항체 보유율이 각각 2.3%와 3.6%라고 밝혔다. 대부분 젊고 건강한 이들로 메르스에 걸린 후에도 자가 치유되면서 항체가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15∼44세의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무증상 감염자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바이러스를 전파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대한감염학회가 국내 메르스 환자 58명을 분석한 결과, 증상이 없는데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이는 면역력이 높고 건강한 젊은 층의 경우, 메르스를 잘 극복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메르스를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뜻도 된다.
따라서 방역 당국은 의료기관 내 감염만 고집하지 말고 지역사회 감염에 대비해 메르스를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한감염학회는 "잠복기를 고려하면 현 시점에서 방역을 철저히 해도 추가로 확진 환자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면서 "무증상 접촉자는 자가 격리로 충분하지만 폐렴이 동반된 중증 감염자와 만성질환이 있는 감염자는 적절한 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성현 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