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대학병원 경영악화 타개책 없나

전국을 강타한 메르스 파동이 그러잖아도 어려움을 겪고 있던 대구 지역 대학병원 경영에 치명상을 입히고 있다. 갈수록 심화하는 수도권 병원으로의 환자 유출 현상에다 메르스 여파로 환자 수가 뚝 떨어지면서 경영에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것이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이참에 지역 대학병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수도권 특정 병원의 쏠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지원과 함께 병원 자체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교통의 발달로 전국이 일일생활권이 되면서 지역의 환자가 수도권의 상급 의료기관으로 빠져나가는 추세는 이미 일반적인 현상이다. 특히 이른바 '빅 5'로 불리는 상급 종합병원에 대한 환자 쏠림 현상은 점점 심화하는 형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이들 '빅 5' 병원들의 총 진료비는 2조9천798억원으로 전국 43개 상급 종합병원 총 진료비의 3분의 1이 넘었다.

지역 환자들의 수도권 대형병원 선호 의식이 보편화할수록 지역 대학병원의 위기의식은 일반화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올해는 메르스 사태까지 겹치면서 경영난이 가중된 모습이다. 경북대병원은 올 연말까지 적자가 2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오랜 파업으로 120억원가량 적자가 발생한데다, 메르스 여파로 또다시 60억원의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영남대병원은 메르스로 23억여원의 직'간접적 손실을 봤고, 대구가톨릭대병원과 계명대 동산병원도 손실 규모가 8억~1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메르스 사태에 따른 환자 수 격감과 손실 발생은 어쩔 수 없는 일시적 현상이라고 치부할 수 있다. 문제는 환자의 수도권 유출에 따른 재정 악화와 연구기반 약화, 그리고 체감 신뢰도 하락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느냐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방만한 경영과 강성노조의 파업, 그리고 오진 빈발 등 의료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내부 요인부터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역 대학병원과 수도권 상급병원과의 의료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대학병원을 특화해 육성해야 한다. 특정 암 질환이나 류마티스 질환, 흉부 질환, 재건 성형 등 병원별로 특화된 분야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재정 건전성을 높이면서 연구기반을 강화하고 환자를 흡인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