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오픈프라이머리 타협 없다"

野 주장 수용하면 의석수 증가,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빅딜 거부

새누리당이 선거제 개편과 관련,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국민공천제)-권역별 비례대표제 빅딜'은 없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국민공천제는 각 당의 당헌'당규를 변경할 공천제 관련 사항이고,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공직선거법을 개정해야 할 선거제도 문제라 한 테이블에 올려놓고 맞바꾸기 할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황진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비례대표제 도입 취지가 퇴색하고, 불가피하게 의석 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현 상태에서는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국민공천제는 적폐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책으로 다른 제도와 타협하거나 협상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게 새누리당의 분명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국민공천제 시행에 타협은 없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한 새누리당은 총선룰과 관련한 모든 논의는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11일 의원총회를 열어 이 같은 입장을 '당론'으로 채택해 야당을 압박할 것으로 알려졌다.

20대 총선룰을 두고 여당과 야당, 또 각 당 내부의 이견이 접점을 찾지 못한 가운데 이날 국회의장 직속기구인 '선거제도개혁 국민자문위원회'가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제출하기로 해 '비례대표제'를 둘러싼 여야 간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자문위안(案)은 현 300명의 의원 정수와 지역구 의원(246명) 및 비례대표 의원(54명)의 비율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정당득표율에 따라 지역구를 제외한 비례 의석만 각 당에 할당하는 방식을 골자로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