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Q. [사회탐구] 협동·토론학습 방식 수업 참여 어떻게?

Q: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선생님께서 협동학습이나 토론학습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학습 내용 익히기도 빠듯해서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제 생각이 잘못됐나요?

◇협력 통한 문제해결 능력, 수업에서 익히길

▶김영진 멘토=교사들이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타인과 협력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다. 대학 역시 수용적 학습에 익숙한 학생보다는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교사들의 사회탐구 출제 방식도 단순한 내용 암기나 기억력에 의존하여 해결하는 문항보다는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개념 적용, 분석, 추론, 가치 판단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이나 교수-학습 모형과의 연계 문항을 출제한다. 교수-학습 모형과의 연계 문항은 개념학습, 탐구학습, 토론학습, 의사결정학습 등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상황을 평가에 도입한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개념학습모형에서는 사례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속성을 제대로 파악하였는지를 묻고, 탐구학습모형에서는 가설의 설정, 자료 수집 및 분석이 바르게 되었는지 평가한다. 의사결정모형이나 토론학습모형에서는 입장을 정한 근거가 합리적인지를 묻는 문항 등을 출제한다.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은 수능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된다. 최근 몇 년간 수능 사회탐구 출제 경향을 분석해 보면, 개념학습과 함께 탐구 문제의 인식 능력, 자료의 분석 및 해석력, 가치 판단과 의사결정 능력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도 ▷개념 및 원리의 이해 ▷문제 파악 및 인식 ▷탐구 설계 및 수행 ▷자료 분석 및 해석 ▷결론 도출 및 평가 ▷가치 판단 및 의사결정 등 6가지 평가 요소를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했다. 사회탐구 평가의 목적이 이러하다면, 수동적으로 수업을 듣고 문제만 풀기보다는 협동학습이나 토론학습, 프로젝트학습 등 활동 중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전공 분야와 관련된 논술, 면접 등 대학별 고사에 도움이 됨은 말할 것도 없다.

활동 중심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다 보면 스스로 의미를 찾게 되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다 보면 개념이 더 확실해지며, 새로운 문제 해결도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토론수업이나 협동수업은 물고기를 잡아주는 수업이 아닌 물고기 낚는 법을 배우는 수업이다. 부디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