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바람직한 대구·경북 지자체의 공동 노력

대구시가 23일 경상북도와 구미시, 경산시, 칠곡군 등 4개 지방자치단체와 대구권 광역철도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는 2017년 착공, 2019년 완공 예정으로 1천197억원을 투입해 경산~대구~칠곡~구미를 잇는 61.8㎞ 구간의 대구권 광역철도구축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다. 지난해 팔공산 둘레길 조성을 위해 대구'경북 7개 광역'기초지자체가 만든 협의체와 같은 맥락이다.

이 같은 대구시, 경북도, 대구 인근 지자체를 포함하는 협의체처럼 지자체끼리 공동 업무 추진에 따른 경험 공유와 지혜를 모으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협의체 모임이 느는 추세다. 이는 20년이 넘은 민선 지자체 도입의 역사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도토리 키 재기식의 지자체 간 소모적인 경쟁보다는 협력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까닭이다.

경북 동해안에서는 지난해 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 등 5개 시'군 지역행복생활권 담당자가 모여 협의회를 만들고 별도로 5개 분과 모임까지 구성했다. 보다 광범위한 모임으로는 경북 북부지역의 11개 시'군의 모임인 경북북부권 행정협의회나 사과 주생산지인 15개 시'군의 단체장 모임인 사과 주산지 경북 시장'군수 협의회가 운영 중이다.

경북 동해안 행복생활협의회는 지난 20일 포항시청에서 행정'경제분과 모임을 가진 데 이어 순차적으로 나머지 4개 분과별 모임을 갖고 올해 사업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이미 일부 사업은 실천 방안을 협의해 지자체 간 지원안까지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사과 주산지 협의회 역시 서울에서 해마다 대규모 사과 판촉 홍보 활동을 펼치며 경북 사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대구와 경북의 시'군 경계를 넘는 협력은 바람직하다. 게다가 지금은 지자체마다 필요에 따라 시'도를 뛰어넘어 다른 지역의 광역 시'도 소속 지자체와 손잡고 협력하며 공동 발전을 꾀하는 일도 점점 많아졌다. 더 이상 물리적 경계에 갇힌 행정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런 지자체 간 협력의 결과는 개별 지자체의 발전과 함께 혜택은 주민에게 돌아간다. 경계를 허물고 가치 공유를 위한 지자체 간 협력이 더욱 확산하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